Archives of Design Research
[ Articl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Vol. 31, No. 3, pp.133-149
ISSN: 1226-8046 (Print) 2288-298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05 Jan 2018 Revised 15 May 2018 Accepted 18 May 2018
DOI: https://doi.org/10.15187/adr.2018.08.31.3.133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sign Problem and Solution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KoBongsin고봉신YiEunsil이은실
Department of Visual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goy, Seoul, Korea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goy, Seoul, Korea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활용상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 방향

Correspondence to: Eunsil Yi yes0606@seoultech.ac.kr

Background In recognition of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identity and national image, countries have the impetus to develop their governmental identity. In 2016, upon the Republic of Korea's 7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its government decided to have all governmental agencies use a new government symbol, "Tae-geuk." However, issues arose since each government agency used the symbol in a different way or perverted it. Therefore, this research sought to find a way to address the problems centered around the government symbol and suggest improvements.

Methods An investigation of application through an on-the-spot, Web/Mobile, and internet investigation was executed for 960 government institutions that had applied the government symbol. Materials from the investigation of application were analyzed,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an improvement point was drawn after a comparison with foreign, advanced cases. Then, a modified design was propos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problems such as the distortion of the government symbol's shape, the distortion of the government symbol's spatial orientation, the exposure of the background color, the error of application in the use of a solid color gradation and solid color, the distortion of the border line's shape, and a invasion of clear space were found. It was found that the form of the governmental symbol needs to have "vertical and horizontal clarity" and a "closed shape."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use an intervening element as a design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ymbolic mark to have "clarity of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a "closed shape," or close the opened part of the symbolic mark, and use the clear space of the white border line shape or white rectangle as the default. It was found that the greatest suggestion for improvement was to use the clear space of the white rectangle.

The government's symbolic mark is used by a vast number of subordinate agencies. Thus, such agencies ought to exhibit uniformity in the usage of the symbolic mark through effortless applic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standard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institutions having a similar structure.

초록

연구배경 정부의 아이덴티티가 국가의 이미지와 강하게 결부된다는 인식 아래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정부 아이덴티티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정부 역시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각 정부기관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상징체계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여 2016년부터 태극을 활용한 새로운 정부상징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시행 이후 기관 별로 정부상징문양을 각기 다른 형태로 사용하거나 왜곡시키고 있어 통일성과 보편적인 활용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상징체계를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정부상징이 적용된 960개 기관에 대하여 현장 조사와 웹/모바일 조사,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여 적용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적용현황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선진사례와 비교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이슈를 통해 수정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상징문양 활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첫째, 정부상징문양 형태의 왜곡. 둘째, 정부상징문양 방향의 왜곡. 셋째, 배경색의 노출. 넷째,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다섯째, 테두리형의 왜곡. 여섯째, 보호공간의 훼손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으며 정부상징의 형태는 ‘수직·수평의 명확성’, ‘폐쇄적 형태’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수직·수평의 명확성’, ‘폐쇄적 형태’를 갖기 위한 정부상징문양의 디자인 개선 방향으로 보조요소를 사용하거나, 상징문양의 개방된 부분을 닫는 방안, 그리고 흰색 테두리형 또는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 중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제일 적절한 개선안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정부상징문양은 다수의 하위기관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런 구조를 갖는 기관의 아이덴티티는 손쉬운 적용으로 위상을 확립 및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이런 유사한 구조의 기관을 위한 아이덴티티 개발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Government Identity, Identity Design, Identity System,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Government Symbol Mark, Symbolic Mark, 정부 아이덴티티, 아이덴티티 디자인, 아이덴티티 체계, 정부상징문양, 상징문양

1. 서론

최근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자국의 정부 아이덴티티 수립을 위한 국가 브랜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정부 역시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각 정부기관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상징체계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는 ‘대한민국 정부상징체계’의 개발을 추진하여 2016년부터 태극을 활용한 새로운 정부상징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을 위해 만들어진 정부상징체계는 시행 이후 서로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거나 ‘대한민국 정부상징체계 디자인가이드(2016, 이하 본문에서는 ‘디자인가이드’로 표기)’에 제시된 규정에 맞지 않게 사용하면서 통합성에 손상을 주고 있다. 일관된 정부 아이덴티티의 수립은 정부 이미지의 올바른 인식과 확산은 물론 국가의 브랜드 이미지를 위해서도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수많은 정부기관과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는 정부상징문양이 일관성을 확보하고 보다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현재의 문양이 갖는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부상징문양 디자인의 개선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기관의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인쇄물·사인물·홍보물·웹/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정부상징문양이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경우와 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부상징문양 적용대상인 정부기관 960개 기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부상징문양이 잘못 적용되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디자인가이드(2016)를 토대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현장 조사, 웹/모바일 조사, 인터넷 조사의 총 세 가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현장 조사는 서울청사, 과천청사, 대전청사 소재의 중앙행정기관 및 소속기관(연구기관, 교육기관, 문화서비스기관, 의료기관) 총 21곳을 현장 방문하여 총무·서식류, 홍보물류, 사인·환경류, 차량류의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웹/모바일 조사는 기관 공식 웹사이트와 모바일사이트를 대상으로 주요 적용 공간인 헤더(header)와 푸터(footer)에 대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인터넷 조사는 포털 검색을 통하여 인터넷 매체에서 보이는 SNS, 배너, 카드뉴스, 온라인 홍보물, 기사, 인포그래픽 등을 조사하였다.둘째. 현장 조사, 웹/모바일 조사, 인터넷 조사로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형태의 왜곡, 방향의 왜곡, 배경색의 노출,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테두리형의 왜곡, 보호공간의 훼손으로 정리되는 총 6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셋째.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선진 사례를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의 다섯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넷째.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 조사를 통해 수집된 문제점과 해외 통합 아이덴티티 선진 사례를 비교 및 종합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다섯째. 도출된 개선점을 토대로 정부상징문양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Method of study


3.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현황

3. 1. 개요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으며 정부 상징의 일관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품격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2016년 3월부터 태극을 모티브로 개발된 새로운 정부상징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정부상징체계는 부처 별로 친근함과 차별성을 내세워 상이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이는 국민에게 혼란을 줄 뿐 아니라 각 기관의 상징에 대한 인지도 또한 매우 저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부조직 개편 때마다 상징이 교체되어 예산과 행정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국민의 혼란은 가중되고 정부기관과 비 정부기관을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분산된 정부의 이미지를 통합된 이미지로 정비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최근 정부의 아이덴티티는 국가 브랜드 이미지의 주요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국가 브랜드 이미지는 대외적으로 해당 국가의 생산품, 인구 유입, 투자 유치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국가 내부적으로도 국민과 정부를 연결하는 접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정부 아이덴티티 수립과 국가적 위상을 위하여 통합 정부 아이덴티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OECD 34개 국가 중에 28개국이 통합형 상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트렌드를 반영하여 새롭게 개발된 ‘대한민국 정부상징체계’는 태생적 형태에서 비롯되는 문제, 짧은 개발 및 적용 기간, 상세한 가이드라인 부족 등의 이유로 실제 각 기관의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정부상징체계 적용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3. 2. 정부상징문양의 형태적 특성

태극은 국기와 국장에서도 사용되는 우리나라의 국가상징문양으로 평화, 상생, 단일, 창조, 무궁의 가치를 상징하고 있으며 새로운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 역시 태극을 기본형으로 개발되었다. 정부상징문양은 태극의 청·홍 양극이 역동적으로 돌아가는 형태로 여러 정부 기관들이 서로 협력하며 국민과 하나 되어 미래를 향해 진취적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상징화한 것으로 기본적인 형태는 원형(圓形)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정부상징문양의 색상은 청·홍 양극을 기본으로 하면서 백색을 더하여 태극기의 청·홍·백을 사용하고 있다. 청·홍·백색은 각각 태극기보다 진한 파란색과 선명한 빨간색을 사용하였으며 문양 가운데와 바탕의 백색은 깨끗함과 숭고한 정신의 상징으로 청렴한 정부를 상징한다(디자인가이드, 2016). 하지만 문양 중앙의 백색은 개발 당시부터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문양의 중앙은 백색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문양의 하단 부분이 열려있어 문양이 적용되는 매체의 바탕색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정부상징문양이 적용되는 매체의 배경색에 따라 문양의 중앙이 나무색, 투명색, 메탈색 등 소재의 색상이나 강한 원색, 복잡한 그래픽 이미지 등 백색이 아닌 매체의 다양한 배경색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Figure 1

Former symbol mark of the korean government / National Emblem of the Republic of Korea / Republic of Korea’s National Flag(Taegeukgi)

Figure 2

New symbol mark of the Korean government & Korean government Typeface


4.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 조사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 조사는 정부기관 21곳을 방문하여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을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한 현장 조사와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헤더와 푸터 영역에 적용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조사한 웹/모바일조사, 포털 검색을 통해 검색되는 항목들의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조사한 인터넷조사로 이루어졌다.

4. 1. 현장 조사

현장 조사는 세종청사, 서울청사, 과천청사, 대전청사 소재의 중앙행정기관 및 소속기관(연구기관, 교육기관, 문화서비스기관, 의료기관) 총 21곳을 현장 방문하여 총무·서식류(기관기, 명함, 레터헤드, 업무용 봉투, 방문증, 공문서, 보고서), 홍보물류(현수막, X배너, 포스터, 리플릿, 간행물 표지, 보도자료, 기자회견장 후면배경, 사회대, 발언대), 사인·환경류(외벽채널사인, 지주사인, 정문 및 담장의 기관 상징, 실외 종합안내사인, 실외 유도사인, 윈도우 그래픽, 안내데스크, 스피드 게이트, 키오스크, 실내 종합사인, 실내 게시판, 실내 유도사인, 실내 안내사인, 명패), 차량류(공용차량) 등의 항목을 대상으로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정부상징문양이 적용되어 있는 항목들을 사진 촬영하였고, 기관담당자 인터뷰를 통하여 문제점과 문제의 발생 이유 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Figure 3

Checklist for Onsite Investigation(SignBoard)

4. 2. 웹/모바일 조사

웹/모바일 조사는 정부상징문양을 적용하는 960개 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웹사이트와 모바일사이트(모바일어플리케이션 포함)의 주요 적용 공간인 헤더(header)와 푸터(footer)에 대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수집하였다.

Figure 4

Checklist for Web/Mobile Investigation(National Museum of Korea)

4. 3. 인터넷 조사

인터넷 조사는 포털 검색(구글, 네이버, 다음)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SNS, 배너, 카드뉴스, 온라인 홍보물, 기사,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항목을 대상으로 화면을 캡쳐하거나 이미지를 다운받는 방식으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을 수집하였다.

현장 조사, 웹/모바일 조사, 인터넷 조사의 조사 항목을 종합하면 아래 표(Table 2)와 같다.

Figure 5

Checklist for Internet Investigation

A Investigation on the Application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5. 정부상징문양 활용상의 문제점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총 2226장으로 현장 조사 652장(총무/서식류 108장, 홍보물류 147장, 사인/환경류 363장, 차량류 12장), 웹/모바일 조사 1131장, 인터넷조사 443장의 사진 이미지이다. 수집된 사진 이미지 중 문제가 발견된 이미지는 현장 조사 117장(총무/서식류 13장, 홍보물류 40장, 사인/환경류 60장, 차량류 4장), 웹/모바일 조사 312장, 인터넷 조사 207장이다. 발견된 문제점들은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형태의 왜곡, 방향의 왜곡, 배경색의 노출,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테두리형의 왜곡, 보호공간의 훼손이 그것이다. 6가지의 문제점 중에 많은 매체에서 배경색의 노출 문제가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었다.

Number of Problems in Applying the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Figure 6

Number of Problems in Applying the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5. 1. 형태의 왜곡

정부상징문양 활용상의 문제점으로 먼저 형태의 왜곡을 들 수 있다. 형태의 왜곡은 정부상징문양의 비례를 왜곡하여 타원으로 보이게 하는 경우로 기본적으로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례를 파악하기 어려워 생기는 문제이다. 상대적으로 크기 조절이 용이한 웹/모바일의 헤더와 푸터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Distortion of government symbolic shapes

5. 2. 방향의 왜곡

방향의 왜곡은 정부상징문양의 각도를 변형하는 경우이다. 즉, 정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표현되는 경우로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정방향을 가늠하기 어려워 생기는 문제이다.

Distortion of government symbolic direction

5. 3. 배경색의 노출

배경색의 노출은 정부상징문양 중앙 부분에 매체의 바탕색 또는 재질이 노출되는 현상으로 정부상징문양의 하단부가 열려 있는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오는 문제이다. 즉, 정부상징문양의 중앙은 백색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규정(디자인가이드, 2016)에도 불구하고 형태의 자체적인 결함으로 인해 규정이 지켜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로, 정부상징문양의 통일된 이미지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Exposure of background color

5. 4.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정부상징 응용형은 기본형을 사용할 수 없는 제한적 상황에 한하여 사용하는 응용형으로 단색 계조 응용형의 경우, 1도로 인쇄하여야 하는 제한적 상황(신문광고, Monotone 효과 등)에 Black 60%, Black 100%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정부상징문양의 응용형이다. 그리고 단색 응용형은 색상 표현이 불가능한 매체 또는 특수표현에 적용 시 제한적으로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응용형이다(디자인가이드, 2016).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는 이러한 단색 관련 규정과는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는 현상으로, 정부상징문양의 적색과 청색이 형태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맞닿아 있어 생기는 문제이다. 또한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에 대한 상황별 상세한 규정과 예시가 제시되어 있지 않는 점 또한 문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단색 및 단색 계조 응용형 사용의 오류는 인쇄물이나 웹/모바일의 헤더와 푸터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Error of application use of solid color gradation & solid color

Figure 7

Design guide for solid color gradation & solid color

5. 5. 테두리형의 왜곡

테두리형은 문양의 명시도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활용형으로 개방형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문양의 중앙을 백색으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디자인가이드, 2016).테두리형의 왜곡은 디자인가이드에 제시된 형태를 지키지 않고 원형이 아닌 태극의 둘레에 맞추어 잘못 사용하거나 테두리를 너무 굵게 또는 너무 가늘게 잘못 사용한 경우이다. 이러한 문제는 정부상징문양이 개방형이라는 특징과 함께 디자인가이드에 다양한 크기로 활용 시 테두리형 사용에 대한 상세 규정이 없어 생기는 문제이다. 모든 매체에서 빈번하게 발견되었으며 현장 조사 항목의 사인·환경류에서 발견된 빈도가 가장 높았다.

Distortion of border line shape

Figure 8

Design guide for border line shape

5. 6. 보호공간의 훼손

정부상징문양 보호공간은 정부상징 주변의 지정된 공간에 보조문양 이외의 다른 시각요소(이미지, 문자 등)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규정으로 정부상징문양 고유의 형태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다(디자인가이드, 2016).보호공간의 훼손은 정부상징 문양의 배경에 다른 요소를 넣어 고유성을 해치는 형태로써, 디자인가이드 내에 보호공간에 대한 상세하고 적절한 규정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적용하는데 혼란을 겪어 발생하는 문제이다. 주로 인쇄물이나 인터넷 환경의 배너, 카드뉴스 등에서 발견되었다.

Invasion of clear space

5. 7. 문제점 종합

5-1에서 5-6까지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보면 다음과 같은 표(Table 10)로 나타낼 수 있다.

Problems and analysis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6.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개발 사례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개발 사례로는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사례 중 통합형 아이덴티티로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인 5개 국가(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를 선별하였다. 정부 아이덴티티 사례로 자주 언급되는 미국이나 덴마크의 경우는 통합형이 혼재된 혼합형이라 사례에서 제외하였다.

6. 1. 네덜란드

네덜란드 정부는 2007년 12월 통합 아이덴티티 구축을 발표하였고 이후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되던 아이덴티티를 하나 된 스타일의 통합 아이덴티티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통합된 정부 아이덴티티는 사자 두 마리가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의 국가문장을 파란색의 사각형(블루리본)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문장을 둘러싼 파란색의 사각형은 문장에 대한 보호공간을 제공하여 다른 요소들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네덜란드와 같이 문장 주변의 일정 공간을 둘러싸는 보호공간을 활용한다면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개방형인 특성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Figure 9

Dutch Government Identity System

6. 2. 캐나다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국기에서 단풍잎의 줄기를 조금 수정한 모습의 통합 아이덴티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처럼 상징문양과 국기의 일관된 모습은 국가 이미지 확립에 기여하며 캐나다 정부를 통일된 하나의 정부로 보이도록 한다.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처럼 문양의 일부분이 뚫려있는 개방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방된 공간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며 중앙 부분이 아닌 문양의 외곽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과의 차이점이다.

Figure 10

Canadi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6. 3. 영국

영국 정부는 자국의 오랜 전통을 나타내는 왕실문장을 사용한 통합 아이덴티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왕실문장을 다원화하여 각각의 경우에 맞게 다른 규칙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컬러라인을 사용하여 부처의 특성을 구분하였다. 또한 정부상징문양의 사용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정확한 활용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Figure 11

HM Government Identity System

6. 4. 독일

독일 정부는 국가문장인 독수리와 국기의 3가지 색상을 사용한 바(Bar)가 조합된 형태의 통합 아이덴티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3색 바는 수직과 수평의 뚜렷한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은 원형이라는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수직·수평을 가늠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는데, 독일의 3색 바와 같이 수직·수평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을 사용한다면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방향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igure 12

Germ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6. 5. 호주

호주 정부의 아이덴티티는 호주연방을 구성한 6개 주를 상징하는 배지가 새겨진 방패를 캥거루와 에뮤 그리고 식물이 둘러싼 형태를 띠고 있다. 호주인에게 친숙한 고유의 동식물을 모티브로 한 전통적인 문장 형식의 통합 아이덴티티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문장 중심에 있는 가로선은 수직·수평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기준이 된다.

Figure 13

Australi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7. 개선방향 제안

대한민국 정부상징체계와 해외의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사례를 비교해보면 다음(Table 11)과 같은 특징을 도출해 볼 수 있다.

Comparison of Government Identity by Country

위 표(Table 11)에서 도출된 점을 종합해보면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를 이룬 국가들의 상징문양은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을 모티브로 하여 국가의 아이덴티티를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부분 폐쇄적인 형태로 개발되어 안정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수직·수평의 구분이 명확한 특성을 보여준다. 상징문양의 적용에 있어서도 상세한 디자인가이드를 제공하여 보편적 활용에 있어 혼란을 최소화하였으며 일관된 국가 이미지 확립에 도움을 주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적용현황 조사 분석과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사례를 참고하여 도출된 정부상징문양의 형태적 문제점은 크게 2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연구자는 이 2가지 형태적 문제점에 대해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해보고자 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방향의 왜곡과 형태의 왜곡을 보완하고 수직·수평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보조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상징문양의 우측에 수직 바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색상은 정부상징체에서 사용되는 정부회색(K 80%)을 사용하였다.

둘째.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여 각기 다른 적용 매체에서 일관된 이미지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상징문양 자체가 폐쇄적인 형태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하단 부분의 청색 그래픽 요소를 적색의 그래픽 요소와 맞닿게 연결한 폐쇄형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셋째.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상징문양의 주변을 감싼 흰색 테두리형을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상징문양 바탕에 흰색의 사각형을 사용하여 보호공간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Proposal for improvement of government identity

네 가지의 제안들을 살펴보면, 제안 1의 경우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형태의 왜곡과 방향의 왜곡을 해결할 수 있으나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 제안 2, 제안 3의 경우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배경색의 노출과 보호공간의 훼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제안 4의 경우 원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형태의 왜곡과 방향의 왜곡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배경색의 노출과 보호공간의 훼손, 테두리형의 왜곡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수직·수평의 명확성과 폐쇄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설정하고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제안 4가 가장 적합한 개선안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이미지(Figure 14)는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기본형으로 사용하는 제안 4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이 감싸고 있는 정부상징문양을 기준으로 가로축 또는 세로축으로 확장되는 확장형 아이덴티티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상이한 환경에서도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확장을 통해 다른 요소로부터 정부상징체계가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Figure 15)은 앞에서 제시한 제안 4의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한 디자인 적용 예시이다.

Figure 14

Design guidelines for Proposal four

Figure 15

Example of Design Application for Proposal four


8. 결론 및 제언

정부상징체계의 개선은 외부적으로는 국가적 위상 확립과 국가 이미지 제고를 목표로, 내부적으로는 국민의 자긍심 향상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또한 정부조직과 같이 수많은 하위기관을 갖는 아이덴티티는 여러 환경의 다양한 매체에서도 각 기관들이 쉽고 명확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상징문양의 태생적 한계인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으로 발생하는 문제점과 원형의 형태적 특성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조요소를 사용하여 수직·수평을 명확하게 하는 방안, 상징문양의 개방된 부분을 닫는 방안, 그리고 흰색의 테두리 또는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활용하고 기본형으로 사용하여 폐쇄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상징문양 자체에서 오는 형태적인 문제점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상징문양의 디자인이 가져야 할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상징문양과 상징체의 조합 그리고 그 사용에 대한 문제, 기관 별 복수기관 병기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의 개선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으로, 정부상징문양 적용 시 제작업체에 일임하거나 관리 감독이 제대로 되지 않는 시스템 또한 문제의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시스템적인 개선과 함께 담당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본 연구의 결과가 대한민국 정부상징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이와 유사한 구조의 수많은 하위기관을 갖는 기관의 아이덴티티 개발 및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done by 2017 SEOULTECH Research Fund.(2017-0575)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2017-0575)

Notes

Citation: Ko, B., & Yi, E.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sign Problem and Solution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1 (3), 133-149.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ferences

Figure 1

Figure 1
Former symbol mark of the korean government / National Emblem of the Republic of Korea / Republic of Korea’s National Flag(Taegeukgi)

Figure 2

Figure 2
New symbol mark of the Korean government & Korean government Typeface

Figure 3

Figure 3
Checklist for Onsite Investigation(SignBoard)

Figure 4

Figure 4
Checklist for Web/Mobile Investigation(National Museum of Korea)

Figure 5

Figure 5
Checklist for Internet Investigation

Figure 6

Figure 6
Number of Problems in Applying the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Figure 7

Figure 7
Design guide for solid color gradation & solid color

Figure 8

Figure 8
Design guide for border line shape

Figure 9

Figure 9
Dutch Government Identity System

Figure 10

Figure 10
Canadi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Figure 11

Figure 11
HM Government Identity System

Figure 12

Figure 12
Germ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Figure 13

Figure 13
Australian Government Identity System

Figure 14

Figure 14
Design guidelines for Proposal four

Figure 15

Figure 15
Example of Design Application for Proposal four

Table 1

Method of study

연구 방법
테이블에대한설명
1 조사 및 분석
(960개 정부기관)
- 현장 조사(21개 정부기관) 총무·서식류, 홍보물류, 사인·환경류, 차량
류의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
- 웹/모바일 조사(960개 정부기관) 웹사이트와 모바일사이트의헤더·푸터에 적
용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
- 인터넷 조사(960개 정부기관) 포털 검색을 통한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
2 문제점 도출 - 형태의 왜곡
- 방향의 왜곡
- 배경색의 노출
-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 테두리형의 왜곡
- 보호공간의 훼손
3 선진 사례 분석 -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사례(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
4 개선점 도출 -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 적용현황과 해외 정부 통합 아이덴티티 사례를 통한 개선점 도출
5 개선안 제안 - 개선점을 바탕으로 한 정부상징문양의 개선방향 제안

Table 2

A Investigation on the Application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조사 방식 조사 항목
현장 조사 총무/서식류 기관기, 명함, 레터헤드, 업무용 봉투, 방문증, 공문서, 보고서
홍보물류 현수막, X배너, 포스터, 리플릿, 간행물 표지, 보도자료, 기자회견장 후면배경, 사회대, 발언대
사인/환경류 외벽채널사인, 지주사인, 정문 및 담장의 기관 상징, 실외 종합안내사인, 실외 유도사인, 윈도우
그래픽, 안내데스크, 스피드 게이트, 키오스크, 실내 종합사인, 실내 게시판, 실내 유도사인, 실
내 안내사인, 명패
차량류 공용차량
웹/모바일 조사 웹/모바일 웹사이트와 모바일사이트의 헤더와 푸터
인터넷 조사 인터넷 매체(SNS, 배너,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등)

Table 3

Number of Problems in Applying the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조사 방법(조사 항목) 수집된 이미지 문제점 발견 문제점 분석 발생 빈도
현장 조사
(총무/서식류)
108장 13장 형태의 왜곡 2
방향의 왜곡 -
배경색의 노출 1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3
테두리형의 왜곡 1
보호공간의 훼손 6
현장조사
(홍보물류)
147장 40장 형태의 왜곡 -
방향의 왜곡 1
배경색의 노출 18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1
테두리형의 왜곡 17
보호공간의 훼손 3
현장조사
(사인/환경류)
363장 60장 형태의 왜곡 1
방향의 왜곡 -
배경색의 노출 11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5
테두리형의 왜곡 41
보호공간의 훼손 2
현장조사
(차량류)
12장 4장 형태의 왜곡 -
방향의 왜곡 -
배경색의 노출 1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
테두리형의 왜곡 3
보호공간의 훼손 -
웹/모바일 조사
(웹/모바일)
1131장 312장 형태의 왜곡 8
방향의 왜곡 -
배경색의 노출 207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61
테두리형의 왜곡 10
보호공간의 훼손 26
인터넷 조사
(웹)
443장 207장 형태의 왜곡 2
방향의 왜곡 1
배경색의 노출 84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13
테두리형의 왜곡 29
보호공간의 훼손 78

Table 4

Distortion of government symbolic shapes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을 가로로 늘려 비례를
왜곡시킴
-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정확
한 비례를 파악하기 어려움
- 정부상징문양을 세로로 늘려 비례를
왜곡시킴
-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정확
한 비례를 파악하기 어려움

Table 5

Distortion of government symbolic direction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의 각도가 변형됨 -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수
직·수평을 맞추기 어려움

Table 6

Exposure of background color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의 각도가 변형됨 - 정부상징문양이 원형이기 때문에 수직· 수평을 맞추기 어려움
- 정부상징문양의 중앙에 배경의 재질이 드러남 - 정부상징문양의 형태가 개방형으로 되어
있음

Table 7

Error of application use of solid color gradation & solid color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의 색상이 단색 관련 규정
과 다른 모습으로 표현
- 정부상징문양의 적색과 청색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음
- 단색 계조 응용형과 단색 응용형에 대한 상
세한 규정과 예시가 제시되어 있지 않음

Table 8

Distortion of border line shape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의 테두리형을 원형이 아닌 태
극의 둘레에 맞춤
- 정부상징문양의 형태가 개방형으로 되어있음
- 정부상징문양의 테두리형을 너무 굵게 표현 - 정부상징문양의 형태가 개방형으로 되어있음
- 정부상징문양의 테두리형을 너무 가늘게 표현 - 정부상징문양의 형태가 개방형으로 되어있음
- 정부상징문양의 테두리형 색상을 백색 이외
로 사용하는 경우
- 정부상징문양의 형태가 개방형으로 되어있음

Table 9

Invasion of clear space

사례 문제점 문제의 원인
- 정부상징문양의 주변에다른 이미지 요소를
넣어보호공간이 훼손됨
- 웹/모바일 환경에서 배너 사용 시에 대한 보호
공간 상세 규정이 없음
- 정부상징문양을 다른조형요소와 함께 사용
하여 보호공간이 훼손됨
- 기타 환경물 설치 시에 대한 보호공간 상세 규
정이 없음
- 기존의 환경물에 새로운 정부상징문양을 무리
하게 적용

Table 10

Problems and analysis of Korean government symbol mark

문제점 세부사항 문제의 근인
형태의 왜곡 - 정부상징문양의 비례를 왜곡하여 타원으로 보이는 경우 - 원형의 형태적 특성
방향의 왜곡 - 정부상징문양의 각도를 변형하여 정방향으로 표현하지
않는 경우
- 원형의 형태적 특성
배경색의노출 - 정부상징문양의 중앙이 백색이 아닌 매체의 배경색이 노
출되는 경우
- 정부상징문양의 중앙이 백색이 아닌 배경의 재질이 노출
되는 경우
-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
단색 계조 및 단색 응용형 사용의 오류 - 정부상징문양의 색상이 단색 관련 규정과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
- 적색과 청색의 인접한 특성
테두리형의 왜곡 - 원형이 아닌 태극의 둘레에 맞춘 경우
- 테두리의 굵기를 너무 굵거나 너무 가늘게 하는 경우
- 색상을 백색 이외로 사용하는 경우
-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
보호공간의 훼손 - 부적합한 이미지, 슬로건, 다른 조형요소 등과 함께 사용
되어 보호공간이 훼손되는 경우
-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

Table 11

Comparison of Government Identity by Country

정부상징문양 활용 방식의 특성
국가 단독형 조합형 모티브 방향의
명확성
형태적
폐쇄성
테두리형
유무
대한민국 국기
(태극)
X X
네덜란드 국가
문장
(사자)
X
캐나다 국기
(단풍)
X X
영국 왕실
문장
X
독일 국장,
국기
X
호주 대표
동식물
X

Table 12

Proposal for improvement of government identity

개선안 디자인 디자인 개선 방향
원형의 형태적 특성으로 발
생하는 문제에 대한 개선안
제안 1 - 수직·수평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직 바 적용
- 수직 바의 색상은 정부회색(K 80%)을 사용
개방형의 형태적 특성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개선안
제안 2 - 하단 부분을 맞닿게 연결한 폐쇄형으로 디자인 개선
제안 3 - 흰색 테두리형을 기본형으로 사용
제안 4 - 흰색 사각형의 보호공간을 설정하고 기본형으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