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37, No. 1

Case Study on Space Design Process of Participative Type for Community : Case Study of Daeya-dong in Shiheung-si
공동체 참여형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시흥시 대야동을 대상으로
  • Seokhyun Lee :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College of Art and Desig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 이 석현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실내환경디자인전공, 서울, 대한민국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pace design methods and promotion process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design project and to derive ways for project improvement, which centers on a case study of DaeYa-dong, SiHeung-si.

Method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f participative design and analysis about community participatory design project, we first systemize the perspective design methods, and the design process of a old town revitalization. Second, we focus on a case study of DaeYa-dong, SiHeung-si. Third, we systemize promotion methods and process and contents of a participative design project based on community driven design. Fourth, we derive ways to improve the project.

Results The technical factors needed participative space design and process and methods of community driven project was systematized through a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 DaeYa-dong case project was verified possibility of sustainable space design by a participative methods that involved process of planning, idea concepts, management, community activity and theme selection for a old town revitalization.

Conclusions This research proposed sustainable space design implications through an relationship basic on the Necessary Activity, Option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on participatory spaces design process of an old downtown area. Also, This project classed up possibility of integrated local space improvement proposed physical factor planning, participative program, and activity methods. This study can provide objectivity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driven design and the revitalization on a down town area.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시흥시 대야동의 공동체 중심의 구도심활성화 공간개선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동체 주도형 도시디자인 계획의 관점 및 추진 프로세스, 방법 등을 고찰하고, 도시재생에 있어 공동체 참여를 통한 공간개선 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사업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방안과 내용을 정리하고 2016년 국토교통부 국토환경디자인지원사업의 대상지인 시흥시 대야동의 공동체 중심의 구도심 활성화 프로젝트를 사례로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개선사업의 내용을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공동체주도형 사업의 의의도출과 기획과정이 정리되었으며, 계획에 요구되는 기술적인 부분이 정리되었다. 대야동의 사례연구에서는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한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계획의 적용되었고, 기획의 과정에서부터 디자인 아이디어의 도출, 관리 및 활용방안, 참여주체의 선정까지 공동체가 참여하여 각자가 거주하고 일하는 공간에 대한 애착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디자인계획에 있어 사전조사결과 및 요구조건을 토대로 필수적 활동과 선택적 활동, 사회적 활동의 종합성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공간계획과 함께 공동체 참여프로그램과 역할을 명시하고 활동방향을 같이 제시함으로서 지속적으로 통합적인 지역 공간개선의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가 국내의 구도심 활성화 계획의 아래로부터의 체계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Space Design, Community, Participative Type, Siheung-si DaeYa-dong, Process, Case Study, 공간디자인, 공동체 주도형, 시흥시 대야동, 과정, 사례연구.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17 Jan, 2017
Revised: 28 Feb, 2017
Accepted: 13 Mar, 2017
Printed: 31, May, 2017
Volume: 30 Issue: 2
Page: 153 ~ 167
DOI: https://doi.org/10.15187/adr.2017.05.30.2.153
Corresponding Author: Lee Seokhyun (seokhyun@cau.ac.kr)
PDF Download:

Citation : Case Study on Space Design Process of Participative Type for Community - Case Study of Daeyadong in Shiheung-si-.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0(2), 153-167.

This work supported by the Chungang University Research Fund, 2017.

Copyright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경관개선(Urban Landscape Improvement)에 있어 2000년대 이후로 추진된 물리적 환경개선의 지속적인 추진과 개발의 확산은 생활 및 주거, 이동의 편의성(Amenity)을 높였지만, 반면 기존에 지역에 살아왔던 공동체(Community)와 새로운 공동체와의 괴리, 공동체 정체성(Identity)의 감소, 주거지속성의 저하라는 사회적 문제를 확산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도시개발과 정비에서는 도시재생(Urban Revitalization)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지역의 공동체와 역사, 문화특성 등과 조화된 지속가능한(Sustainable)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의 구도심 위주로 추진된 이러한 움직임은 서울의 문래동과 성수동의 창고건축물 및 서촌, 서울역사 주변 등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역재생에 있어서도 기존에는 새로운 시설과 건축물을 도입하는 위주였다면 근래에는 기존의 지역과 장소의 특징을 살린 공간의 개선을 통해 차별화된 환경을 조성하는 계획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LEE, 2016).

이와 함께 지역재생과 도시경관의 개선에 있어서도 전문가와 행정 위주의 행정중심 추진체계에서 주민들의 참여(Participation)를 적극적으로 도모하여 공간개선의 지속성을 이어가기 위한 주민참여(Community Participation) 경관개선의 움직임도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추진방식은 기존의 청문회와 같은 보고위주의 소극적 참여에 비해 지역환경 개선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와 지속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UNG, OH, & HWANG, 2015).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중심시가지 활성화와 안전디자인(CPTED) 개선, 지역경관개선 및 다문화지구(Multi-cultural Area)의 갈등 해소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검증되었다. 최근은 공간개선과 관련된 많은 계획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이제 단순한 참여를 넘어 지역주민이 적극적으로 계획활동의 주체가 되도록 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공동체 참여의 도시재생과 경관개선은 계획내용에 대한 간단한 의견제시만 가능하고 실제의 계획은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방식이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적극적인 주민주도의 정비 추진과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모든 정비와 개발에 있어서 계획단계(Planning Step)에서부터의 공동체 참여를 기반으로 한 계획의 공동체 주도형 계획(Community Driven Planning)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주민의 주도성이 높을수록 나타나는 형태로 계획의 내용과 과정에 주민의 참여가 높아지고 행정의 의존도가 낮아져 지속성 높은 계획을 추진하고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MATSUO, 2006). 이러한 도시디자인 접근은 단순 주민참여에서 공동체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높인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을 지향하는 국내의 많은 도시에 시사점을 던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적용한 다양한 공간디자인 계획과 프로세스에 대한 접근과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흥시 대야동의 공동체 중심의 구도심활성화 공간개선 프로젝트의 사례(Case Study)를 중심으로 공동체 주도형 도시디자인 계획의 관점 및 추진 프로세스(Planning Process), 방법(Methods) 등을 고찰하고, 도시재생에 있어 공동체 참여를 통한 공간개선 방안(Space Improvement Methods)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공간과 공동체 특성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주민들의 이해를 높이는 방식으로 공동체 주도형 디자인 추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단순 주민참여형의 한계를 넘어 지역공간의 디자인에 주민의 주도적인 역량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조성과 마을만들기(Community Design)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2. 연구방법

도시재생에 있어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사업의 프로세스, 방법 및 내용,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에 대한 이론적 고찰(Theory Survey)을 통해 도시재생에서의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관점과 방법, 추진 프로세스를 정리한다. 둘째, 국내외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사업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방안과 계획추진의 방향성을 정리한다. 셋째, 2016년 국토교통부 국토환경디자인지원사업1)의 대상지인 시흥시(Siheung-si) 대야동(Daeya-dong)의 공동체 중심의 구도심 활성화 프로젝트를 사례로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개선사업의 내용과 추진프로세스, 디자인 기법 및 디자인결과물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실시한다. 넷째, 사례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구도심 도심재생지역에 요구되는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 개선방안의 내용을 정리하고 시사점(Issue)을 도출한다.

계획은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계획내용 분석은 공간디자인 계획과 공동체 참여프로그램, 공간의 지속적 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한정하였다.

3. 도시재생에 있어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의 관점과 내용

개성있고 매력적인 공간은 지역에 정체성을 부여하고 이는 도시의 경제적 발전과 환경의 개선, 풍요로운 문화활동의 원동력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장소를 만들기 위한 4가지 핵심적 요소가 접근성과 활동, 안전, 사회적 교류라고 할 수 있다(Projects for Public Spaces, 2000). 특히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류는 지역사회에 대한 강한 애착을 만들고, 이는 문화적, 사회적 생활면에서 삶의 질의 풍요로움과 안전에 대한 확신을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그러한 개성적이고 쾌적한 공간창출과 관리에 있어 주민의 디자인 참여와 운영은 필수적인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것은 기존의 많은 개발과 정비에서 추진해 온 행정위주의 사업은 주민의 관심과 이해부족, 또한 실적 위주의 급한 사업추진으로 인해 그 성과가 지역의 정체성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2000년을 전후로 수많은 공간디자인 개선사업이 추진되었지만 이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지역 경관의 획일화가 가속화되고, 공동체와 관계성 결여로 이어지는 결과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자발적 시민참여는 공공주도의 계획에 비해 자발적 발전가능성과 계획 실천력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아래로부터의 자율적 공동체 참여를 도모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역시 이러한 공동체 참여의 일환이며, 최근은 마을기업과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과 같은 경제적 활동조직의 참여도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기구의 설립도 적극적으로 지자체 단위에서 추진되고 있다(LEE, 2014).

이와 함께 최근에는 소극적 주민참여의 단계를 넘어 지역주민이 계획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이디어를 내거나 테마 및 방향성을 주도하는 방향으로 흐름이 변하고 있다. 이는 기획의 주체가 행정과 전문가가 되는 경우 상황이 종료되면 계획의 연속성이 없어지는 것에 비해 지역주민들의 사업성과의 지속성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역을 활성화시킬 지역 인재(Leader)를 육성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되며, 지역 네트워킹(Local Networking) 확산에도 파급효과(Ripple Effect)가 크다. 이러한 공동체 주도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행정의 연관성은 낮아지고 주민의 자율성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주민과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담보해내고 행정과 전문가들이 지원을 할 수 있는 시스템 적용이 중요하다(Figure 1).


Figure 1 A Participative Design Process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도시공간디자인에서는 공청회나 설명회 등의 소극적인 형태의 참여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경우 협의와 운영에 있어 많은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따른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많은 물리적 환경개선 위주의 디자인 계획이 공간의 획일화와 공동체의 소외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속가능한 공간형성과 활성화, 인재육성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공동체 참여를 통한 공간디자인 기법과 프로세스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 도시재생에 있어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의 요인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추진을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첫 번째는 형식적인 참여보다는 계획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협의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지역과 공동체의 역량을 높여내기 위한 지원과 평가, 지속적인 사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정적, 기술적 지원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주민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홍보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이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이러한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장점은 민주적인 결정시스템으로서 스스로의 환경에 더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공동체의 유대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실제 추진에 필요한 자금의 운용과 참여기술, 파트너쉽(Partnership)을 높여 지속적 추진력을 가지게 한다. 동시에 만족감 높은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NICK, 2000)(Table 1).

Table 1
Participative Project Level

시작 계획 실행 운영
공동체 참여 수준 공동체 조정 Self Help 공동체 스스로 조정 공동체 스스로 계획 공동체 스스로 실행 공동체 스스로 운영
의사결정 공유 Partner 행정과 협의로 진행 행정과 공동체 협의의 계획 정과 공동체 협의의 실행 정과 공동체 협의의 운영
행정과의 조정 Consultation 행정은 협의 후 진행 행정은 협의 후 계획 진행 행정은 협의와 함께 계획진행 행정은 협의와 함께 계획진행
정보의 공유 Information 행정의 행동개시 행정 자체적인 계획 행정 자체적인 계획 행정 자체적인 운영
*(NICK, 2000)

이러한 원칙에 따라 공동체의 계획참여의 수준도 구분된다. 기본적으로 공동체의 수준은 낮은 곳에서는 행정과 전문가의 관여가 크지만 그 참여수준이 향상될수록 계획, 실행, 운영에서의 주민주도성이 커지며 계획의 질적인 수준도 향상되게 된다. 이를 참여 매트릭스도 나타나면 Table 1과 같다. 여기서 행정과 공동체의 협의에 의한 계획이 가장 바람직하며 공동체의 자발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요구한다.

이러한 계획에서는 몇 가지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 접근방식이 요구되는데, 지역의 공간을 공동체 구성원이 중심이 되어 지속가능한 곳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자율성과 다양성, 정체성, 협동성, 지속성의 5가지 원칙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LEE, 2014).

여기서 자율성은 공동체가 처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마을을 자율적으로 바꾸는 자세이고, 다양성은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연령, 계층, 종교, 문화, 국적, 계급 등 일체의 구별과 차별을 피하고 서로의 다양한 모습을 인정하고 화합하는 것이다(PHIL, 2008). 정체성은 자신이 가진 동일성과 다른 사람들과 다른 본질적인 특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참여형 디자인에 있어서는 지역과 장소, 공동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경관이나 문화, 환경을 의미한다(ERICSON, 1956). 협동성은 모든 도시의 변화발전에 대해 공동체의 능력을 모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지속성은 공동체 구성과 마을의 특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과 자세이다. 이와 같은 참여형 디자인 프로세스는 기존의 행정 주도의 디자인 계획에 비해 주민만족도와 지속성, 정체성에 실제로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2011).

여기서 공동체 계획은 참여형 디자인이라는 디자인 방법, 지역환경 및 공공공간의 질 향상이라는 디자인 목표, 행동적 환경 또는 장소라는 디자인 대상과 관계를 가짐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KWACK & LEE, 2011)(Figure 2).


Figure 2 Relationship Diagram of Community & Participative Design (KWACK & LEE, 2011)

따라서 모든 계획의 단계에서 공동체에 기반하여 사람 중심의 과정이 디자인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실행가능한 공간계획과 연계시켜 물리적 환경을 디자인해 들어가야 한다.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추진 프로세스는 이상의 참여와 협력의 민주적 추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시작단계는 공동체와 지역경관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공유하는 과정이며, 지역에 대한 공동의 조사분석을 통해 마을의 도시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황을 정리하고 가치를 공유해 나간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기획과 마을이 나아가야할 미래상을 정립하고 기초적인 디자인 협의와 활동방향 등을 정한다. 여기서 전문가와 행정의 조력과 협력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범위도 다양한 워크숍과 샤레트(Design Charette)를 통한 의견조정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정리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리적 환경과 공동체 활동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활성화, 재생, 육성을 위한 활동내용을 정리한다. 관리 및 확산은 그러한 결과물을 공유하는 과정으로서 다양한 참여주체의 역량상승을 다른 공동체와 다양한 매체로서 연계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향후 보다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Figure 3).


Figure 3 Participative Design Process Diagram (KWACK & LEE, 2011)
5. 시흥시 대야동 공동체 참여 공간디자인 사례 분석
5. 1. 사업의 개요와 디자인 요구조건

시흥시 대야동의 공동체 중심의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공간디자인 사업은 1976년 이후로 수인산업도로가 현재의 신천동, 대야동 일대를 관통하게 되면서 시청이 있던 대야동과 신천동 일대의 중심상권이 쇠퇴하며 생기는 다양한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국토환경디자인 지원사업 선정을 계기로 추진된 사업이다(SiHeung-City, 2016). 이에 본 계획에서는 지역의 다양한 공동체 그룹과 함께 구도심의 경관을 보전하고 구도심의 상권회복 등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계획해 나가는 참여형 방식을 주요 추진방향으로 정하였다.

대상지는 주택지와 재래시장, 초등학교, 상가거리가 밀집된 지역으로 현재 보건소를 중심으로 세 곳의 중심가로와 다수의 공동체 시설, 2곳의 초등학교가 밀집된 전형적인 구도심이다. 시흥시 내에서는 지역 쇠퇴로 인해 거리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상권의 활기가 저하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기도 하다. 주요 가로는 현재 보건소가 있는 장소를 관통하는 호현로와 음식문화 거리가 조성된 문화의 거리, 대골시장이 위치한 대골안길이 있으며, 시의 대표적 창조공간인 ABC 행복학습타운과 다다공동체 센터를 비롯한 7곳의 공동체 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북측에는 시흥시의 대표적 산인 소래산이 있어 등산객의 왕래가 잦으며, 향후 신천역이 개통되면 유동인구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Figure 4).


Figure 4 Site of Participative Design in DaeYa-dong (SiHeung-City, 2014)

중심거리의 보행 및 주차환경은 좁은 보행공간으로 인하여 주민의 보행 및 소비활동이 불편한 상황이며, 횡단 노면표시가 부족하여 횡단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문화의 거리 주변은 불법주차 차량으로 인해 주민의 보행공간이 위협받고 있으며, 야간 범죄의 우려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대골안길 역시 불법주차 차량으로 인해 보행의 불안감과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다.

도로환경 특성으로는 교차로마다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단차가 많아보행자 이동에 효율적이지 못하고, 시설물 정비와 유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골목길을 지나다니는 차량 및 오토바이 등으로 인해 어린이와 주민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으며며, 경사로가 많아 차량주행을 감속시킬 수 있는 공간계획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안전과 관련해서는 대골안길과 대야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범죄가 다수 발생되었으며, 문화의 거리에서 소래산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인범죄가 다수 발생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안전환경 조성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야간에 문화의 거리와 대골안길의 유흥업소가 밀집된 지역에서의 폭력과 절도 등의 예방도 중요한 과제이다.

반면 이 곳에는 이전에 시청이 있던 구도심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공동체가 존재하고 있다. 마을공동체로서는 대야동 주민자치위원회를 포함한 7곳의 공동체가 있으며, 경제 공동체로는 댓골상인회와 신천동 문화의 거리상인회를 비롯한 6곳의 공동체가 있고 마을안전관리 및 개별 활동 공동체로서 다다마을 기업을 비롯한 5곳의 공동체가 있는 등 총 18곳의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어 공동체에 기반한 참여형 계획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지역이기도 하다(Figure 5).


Figure 5 Present Community Situation in Site

이러한 공동체 활동의 특성으로는, 첫째, 마을소통의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공동체를 구성하고 다른 문화공유를 통해 자연스러운 세대통합을 계획하고 있으며, 둘째, 마을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상인과 청년활동가들이 모임을 구성하고 청소년들의 재능기부 등을 통해 문화의 거리 등에서 마을장터와 축제를 계획해 오고 있다. 또한 마을경관 및 안전향상에 있어 공동체환경개선 및 집수리 지원, 안전공간 조성을 위한 텃밭조성, 어머니 경찰 모임 등 대야동과 신천동의 지역향상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2. 디자인 방향성과 추진과정

이상의 물리적 공간특성과 공동체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동체가 계획의 중심이 되고, 공간별 계획 및 운영주체도 주민이 되는 계획의 방향성을 주민워크숍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문화 및 소통공간 특화, 지역생활경제 활성화, 보행환경 개선 및 확보로서, 노약자와 어린이가 많은 공간환경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교통안전강화와 주차환경 개선을 포함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구도심 조성으로 공간계획 방향을 설정하였다(Table 2).

Table 2
Design Requirements

주민의견 유형구분 계획요소
공원 컨텐츠 부족 문화, 소통공간 강화 공원특화 및 노약자를 배려한 계획 반영
재생문화공간 필요(시흥극장) 시흥극장 재생-창업센터 및 문화교육공간 조성
가족단위 소통공간 부족 거리축제 활성화, 시설보도개선
등산객 상권이용 연결방안 지역 생활경제 활성화 소래산 이동 안전동선 확보
빈점포 활용방안 공동육아 공간 및 교육공간 조성
건축물 입면, 민간영역 개선 상가입면개선 및 옥외광고물 계획
보도연결.오픈스페이스 활용 보행환경 개선 및 확보 쌈지공원 및 커뮤니티 장소 조성
주변 건물선 후퇴 계획 보도확보 및 건축입면 개선
보도 시설물 통일된 디자인 통합형 시설물 디자인 및 편의성 제공
보행자 충돌사고 위험 교통안전 강화 바닥기호 활용한 차량속도 저감
교차로 노면디자인 개선 노면디자인으로 안전교차로 환경조성
주차금지 구역 지정 주차환경 개선 불법주차 방지기능 소통교류공간 노면계획
마을초입부 주차공간 확보 신천역 인근 주차장 조성

사전조사결과 및 요구조건을 토대로 전체적인 사업추진방법은 공동체가 같이 참여하고 계획하며 관리하는 공동체 주도형으로 정하였고, 공동체에 필요한 보행안전과 상권 활성화 등의 필수적 활동(Necessary Activity)과 문화적 집객공간 및 접근성 강화 등의 선택적 활동(Optional Activity), 마을 공동체 거점조성의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이 가능한 공간조성방식으로 설정하였다(Jan Gehl, 2003). 결과적으로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이 공동체 특성과 물리적 환경개선과 결합하여 지속가능한 지역기반이 구축되도록 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정비와 개발위주의 방식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Figure 6). 이는 기존에 장소와 사람이 분리되어 공간디자인 조성 후 관리가 되지 않고 지역애착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계획 초기부터 참여를 통해 풀어나가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6 Design Requirements

계획방향은 기존의 주민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 활동기반 구축과 생활공간의 개선의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공동체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공동체 활동기반 마련을 위해 지역에 산재된 교류공간을 발굴하고 참여를 통한 계획, 주민리더 육성 및 지역활동강화 프로그램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활편의 개선과 관련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안전과 쾌적성,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거점공간 육성 및 공공공간 조성, 보행공간 개선과 상가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공간개선 디자인 및 운영 프로그램의 지원방안을 제시하여 물리적인 개선 뿐만 아닌 인문학적 환경개선도 도모하여 지속가능한 지역역량 강화를 제시하였다(Table 3).

Table 3
Design Focus of Site Area

공동체 활성화 공동체 활동기반 구축
- 마을에 산재된 공동체 교류를 위한 공간자산발굴
- 주민중심의 지역역량 강화
특정측이 아닌 일반 주민들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지원형 공간조성
주민 생활편의 개선 공동생활공간 기반개선
- 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생활공간의 안전 및 편의, 사용성 확대
- 상업활동 활성화를 위한 환경지원 및 개선
주민들의 필수적 활동, 선택적 활동을 위한 지원형 공간 조성
1차로 지원공간의 구축으로 구성하고 하부 공동체의 역강강화를 위한 활동거점을 지원을 추가적으로 구성

지역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프로세스는 지역공동체와 문제를 워크숍을 통해 발굴 및 공유하고, 각 공간의 디자인 과제를 물리적인 문제와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 나누어 장기적인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구도심 공간개선이 행정과 전문가 중심이 되어 주민의 요구가 공간개선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간의 개선 및 관리 주체인 공동체가 지역공간의 문제와 디자인 개선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여 주도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계획에서는 그러한 통합운영관리 주체의 육성을 목표로 활동주체(Social Actor)와 지역의 공익활동(Social Activity), 구체적 공유장소(Social Place)의 통합 디자인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그러한 의도가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계획되었다(Table 4).

Table 4
Design Process and Contents of Site Area

활동주체 Social Actor (Network)
지역봉사 경제상인회 문화예술 평생교육 환경관리
대야동 지원봉사센터/다다 아우름청년봉사단/시흥시 진로작업 큐레이터협회/시흥여성 세로일하기 지원본부/대야초등학교 운영위원회/협동조합 요가하모니
공익활동 Social Activity (Program)
경제공동체활동 자치공동체활동 생활공동체활동 문화공동체활동
소상공인 경제 마을가꾸기 육아 건강 여가 문화
어메니티 향상/주차환경개선/노인건강 걷기/지역상권개선 스타업업 지원/공동육아 강화/야외활동연계/가족단위 문화활동지원
공유장소 Social Place
공유공간1:청소년교육,쉼터,상담 공유공간2:마을도서관,마을갤러리,마을카페,마을주점
공유공간3:공동부엌,주부공방,공동육아 공유공간4:마을창고,신천동 동네창고
통합운영 관리 주체운영(마을운용 협동조합)

이는 공동체 참여 중심의 안전 환경 개선프로세스와 유사한 접근법으로 계획의 시작단계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공동으로 해결방안을 대처해 나가는 기본적인 사고에 배경을 두고 있다(DHS, 2013)(Figure 7).


Figure 7 A Participative CPTED Design Process of Public Space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추진전략으로 경제개선, 마을공간개선, 육아공간개선, 보행환경개선, 문화공간개선의 5가지를 설정하고 각 공간의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경제활성화는 소상인 및 공동체 협동조합 사업 등의 프로그램과 운영공간의 조성, 재래시장 개선사업이 주된 내용이며, 마을공간개선은 구도심의 불법주차와 환경문제 등의 문제를 공동체와 공동으로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육아공간과 건강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보행환경개선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조성에 초점을 두고 설정되었다. 지역에 문화를 즐기고 나눌 수 있는 공간 조성 및 프로그램의 여가공간 조성은 구도심에서 일상의 스타일을 높여 지역정주환경조성과 교류 및 소통의 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된다. 이상의 5가지 전략에 해당되는 구역과 전략을 Figure 8에 제시하였다.


Figure 8 A Participative Design Strategy of Public Space

이러한 공간개선안은 7차례에 걸친 주민참여 워크숍과 전문가 토론회를 거친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된 것으로, 각 워크숍은 전문가와 행정담당자, 해당 구역의 주민대표 및 활동가가 참여하여 공간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고안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결과이다(Figure 9).


Figure 9 A Participative Design Workshop and Results
5. 3. 공동체 참여형 공공공간 디자인 계획 및 구상

이상의 공동체 참여워크숍을 통해 수립된 콘셉트와 전략, 세부추진내용을 기반으로 각 공간의 세부적인 공간디자인 계획을 제안하였다. 모든 세부 디자인에 있어서도 주민들의 디자인 아이디어 회의와 관리운영 방안 토론, 참여주체의 결정회의 등을 통하여 디자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각 공간의 활용에 있어서도 주민주도의 지속성을 가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우선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디자인 전략은 소시민 경제활성화와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플랫폼 구축으로 설정하였고, 활동주체로는 협동조합과 일자리센터의 관계자 및 참여주민으로 정리되었다. 주요 계획내용은 기존의 농협창고와 구 극장시설을 연결한 마을문화옥상센터를 리디자인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구도심의 낙후된 시설의 재생효과와 함께 공간의 거점조성에도 크게 기여하는 방식이다(Table 5).

Table 5
Local Economy Activity Design Program

공동체활성화전략 활동주체 실행방안 공유장소
- 소시민경제활성화
- 마을가게만들기 공동체
- 진로작업큐레이터협회
- 협동조합 행진인
- 마을주민 및 소상공인 대상 이색창업 프로그램 개설
- 상권 일자리창출 및 창업컨설팅 지원
마을문화옥상센터
- 청년일자리
- 시흥 패션네트워크 조성
- 신청패션소상공입협동조합
- 여성새로일하기지원본부
- 시흥홈웨어 DIY 제작교육
- 패션업상가 아이템발굴 창업교육
- 마을패션큐레이터 발굴,전시사업
- 창업지원플랫폼
- 시흥스타트업 플랫폼
- 종합일자리센터 - 청년대상 대안일자리발굴 창업지원 센터 유치
- 사회협동조합 센터 연계

경제활성화 계획에서는 이와 함께 마을가게 조성 및 창업프로그램을 운영, 시흥 스타트업 플랫폼을 구축하여 청년들이 중심이 된 창업공간을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도록 하였다.

마을공간개선과 관련해서는 지역의 문화공간조성과 안전보행환경 조성, 쾌적한 공공공간을 공동체 주도형으로 조성하는 계획안으로 골목길 예술문화공간조성과 청춘텃밭 조성, 보행환경개선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소래산가는길 추진위원회, 초등학교 운영위원회가 중심이 된 쓰레기 투기 감시, 디자인특화거리 조성, 거리환경개선 및 타일거리 확장, 텃밭 관리 프로그램 운영, 주차안전계도, 도로환경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주로 주민주도의 협의와 협력의 캠패인 활동으로 지역공간을 정비하고 어메니티를 강화하는 내용이다(Table 6).

Table 6
Design Program for Space Improvement and Participation

공동체활성화전략 활동주체 실행방안 공유장소
골목길 참여예술공간 조성 - 신천동네관리소
- 다다공구도서관
- 대야동마을기업
- 도시재생지원센터
- 골목길 쓰레기 투기감시
- 디자인특화거리 계획 및 조성
- 지역거리환경개선 및 파타일거리확장 사업
마을깔끄미
안전센터
마을 청춘텃밭조성 - 소래산가는길 추진위원회
- 백년정원 국민디자인단
- 어르신과 함께 하는 텃밭조성 확대
- 텃밭가꾸기 및 기르기를 통한 텃밭밥상 차리기
연합공원
리노베이션
뚜벅이 안전마을조성 - 대야초등학교 운영위원회
- 신천초등학교 운영위원회
- 도보단속반 운영 불법주차완화 및 학교주변안전사고 예방
- 학부형과 함께하는 불법주차단속
마을깔끄미
안전센터

소래공원의 경우 기존에는 폐쇄되어 거의 운영이 되지 않는 공간이었지만 개방감 있는 디자인과 주민공동텃밭을 조성하여 개방감과 사용성을 높였고, 지하는 주차공간으로 활용하여 불법주차의 가능성을 줄였다. 또한 보행공간 개선과 안전성 향상과 관련해서는 사고 위험이 높은 교차로에 험프를 조성하여 단차를 줄여 장애인과 노약자, 여성 등의 신체약자의 보행환경성을 높였다. 또한 상가 앞 공지를 개선하여 곳곳에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였다(Figure 10).


Figure 10 Pedestrian Design for Street Environment

이와 함께 이 지역에 소상공인과 젊은 직장인 부부를 위해 가로변의 폐공간을 재생하여 육아공간을 조성하고 공동으로 육아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공동육아 문화공간 창출을 시도하였다. 또한 생태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현재 활용도가 떨어진 가로변 공지에 소공원을 조성하고 놀이프로젝트를 운영하여 공유와 소통의 가능성을 높였다(Table 7). 대야평생학습마을학교와 육아종합시원센터, 평생학습과와 교육청소년과가 지역주민들과 공동으로 운영 및 관리하며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구도심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Table 7
Local Activity Design Program

공동체활성화전략 활동주체 실행방안 공유장소
마을공동체 체험 - 대야평생학습마을학교 - 문화공간탐험 및 체험학습
- 어린이들의 마을체험공유
- 마을지도 및 문화공간 공유
방과후 친구네
육아 대안학교 조성 - 평생학습과
- 육아종합지원센터
- 학부모중심 조합 구성
- 공동육아 어린이집 준비
- 마을형 공동 대안학교 계획
- 대안 어린이집 기반 마련
방과후 친구네
소공원 놀이 프로젝트 - 교육청소년과 - 마을 소공원 야외체험 이벤트
- 주변 소공원을 활용한 나움
- 놀이 큐레이터 치유
대야공원
리노베이션

육아를 함께하는 거리 인프라 조성은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공간의 보행로 확장과 경사면 데크보도를 설치하고 보행특화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Figure 11). 그 외에 소래산으로 향하는 산책로 디자인과 골목길 건강 보행로 개선을 통해 구도심의 안전과 개성이 조화된 보행공간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Figure 11 Safety Street Design for Social Equity

이상으로 전개된 시흥시 대야동의 공동체 주도형 프로세스와 디자인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작단계에서부터 시흥시 대야동의 주민공동체의 리더와 주민들과 전문가, 행정담당자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각 공동체의 대표들이 주도성을 가지고 공간계획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 결과 디자인계획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내용이 조정되어 지역에 밀착된 공간계획이 수립되었다.둘째, 디자인계획에 있어 물리적인 공간계획만이 아닌 공동체가 참여하는 프로그램과 참여주체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공간을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린이와 노약자에게 안전한 보행공간과 휴게공간의 조성, 상권의 특성을 살린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과 공간디자인의 제시, 폐공간을 이용하여 주민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거점공간의 재생 등의 지역재생의 가치를 높인 계획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공동체 참여디자인은 기존에 전문가 위주로 진행되기 쉬운 공간디자인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관리와 운영의 주체로서 주민공동체가 중심이 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공간디자인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Figure 12).


Figure 12 Managements Methods
6.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구도심의 공동체주도형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기 위해 시흥시 대야동의 국토환경디자인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정리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가 단순 참여의 단계를 넘어 계획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는 공간디자인 계획방법은 공간디자인의 연속성과 지속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공간디자인에 있어 물리적인 환경개선과 함께 사회문화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참여형 프로세스의 도입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리더의 육성과 지역활성화의 효과를 확산시키는데도 그 중요성이 크며 행정과 전문가의 지속적인 조력과 협력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둘째, 공동체 주도형 공간디자인에서는 공간이 가진 문제점의 인식과 문제해결, 관리의 전 과정에서 철저한 공동체 리더들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장기적으로 지원하고 계획할 수 있는 시간적 여건과 재정적, 전문적 기술의 지원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계획이 완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자문과 조력을 받을 수 있는 모니터링 제도와 협의체 구성 등의 방법적 보완이 요구된다.

셋째, 시흥시 대야동의 국토환경디자인 지원사업의 사례연구에서는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문제파악에서부터 디자인계획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공동체가 주도하는 프로세스가 적용되었다. 그 결과, 기획의 과정에서부터 디자인 아이디어의 도출, 관리 및 활용방안, 참여주체의 선정까지 공동체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공동체 주도형 계획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은 공간에 대한 이해와 참여의식의 향상, 주도적 기획의 기회 등의 동기가 부여되어 디자인이 완공된 이후에도 해당되는 공간에서의 계획과 참여의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넷째, 디자인계획에 있어 사전조사결과 및 요구조건을 토대로 필수적 활동과 선택적 활동, 사회적 활동의 종합성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공간계획과 함께 공동체 참여프로그램과 역할을 명시하고 활동방향을 같이 제시함으로써 통합적인 지역 공간개선의 가능성을 높였다. 이와 함께 안전과 쾌적함을 가진 가로공간 조성 및 시장상권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계획 및 프로그램 등 각 공간이 가진 여건을 고려한 계획과 프로그램의 적용, 지역 거점공간의 재생디자인 적용 등으로 세부적인 공간의 활력과 지역재생의 가치를 높인 디자인 제시가 되었다는 점에서 관련 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전문가와 행정위주의 계획, 형식적인 공동체 참여의 공간디자인 문제 극복에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여과정에서 진행한 다양한 워크숍 방식과 참여아이디어의 도출 과정은 공동체 리더들의 의식과 정주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향후 다른 계획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그럼에도 본 계획은 1년 미만의 단기간에 진행된 사례라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향후 다른 공동체 특성을 가진 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사례분석을 통한 연구의 객관성 확보가 요구될 것이다. 또한 본 계획이 준공된 후 참여 공동체를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POE) 등을 실시하여 계획과정과 결과와의 정합성 분석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가 국내의 구도심 활성화 계획에서 아래로부터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tes

1) 국토환경디자인 지원사업은 기존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의 후속으로, 2016년부터우수경관자원 밀집지원 또는 경관개선이 시급한 지역의 계획적 개발 및 정비를 위해 정부 3.0의 일환으로 민간전문가와 지자체가 협업하여 경관을 고려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사업이다(AURI, 2016).

References
  1. 1 .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3). Threat and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USA.
  2. 2 . Erikson, E. H. (1956). Identity and the Cycle. WW Norton & Company.
  3. 3 . Jan, G.(2003). Life between buildings, Using Public Space. USA: Island Pr.
  4. 4 . Kwack, D., & Lee, S. (2011). A Study on the Process Evaluation of Participation Design for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 24(4), 119-130.
  5. 5 . Lee, S. H., & Chae, J. H. (2013). A Study on the Achievement on a Community Design Participants-Focused on Siheung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29(9), 187-194.
  6. 6 . Lee, S. (2014). Community Design for a Making the Common City. Seoul: Miseum.
  7. 7 . Matsuo, T., Nishikawa, Y., & Yisa, A. (2005).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s by Citizens. Janpan: Soseisha Publishing Co.
  8. 8 . Park, S., & Lee, S. (2011). Theory of Space Design. Seoul: Jigi Publishing Co.
  9. 9 . Phil, W., & Charles, L. (2008). The Intercultural City: Planning to Make the Most of Diversity. Earthscan.
  10. 10 . Projects for Public Spaces. (2008). How to Turn a Place Around. USA: Projects for Public Spaces, Inc.
  11. 11 . SiHeung-City. (2016). Space Design Report based on Community for Local Revitalization. SiHeung-City.
  12. 12 . Sung, S., Oh, H., & Hwang, H. (2015). Analysis of the Impa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on Continued Motiva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cused on Sajik-dong, Cheongju-si.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50(4), 393-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