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Vol. 27, No. 4

Development of an Interior Design Textbook for a Specialized High School : A Study on a revised 2009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성화고 실내디자인 교과서 개발 사례
  • Jinmin Rhie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 진민 이 :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 Mijeong Ja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 미정 장 :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 서울, 대한민국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review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ior design textbooks based on Advanced Methods of Textbook (2010, Ministry of education). The study provides creative knowledge, supplies a learner-friendly textbook, prepares the basis for developing future textbooks with a specialized desig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erior design textbook selected in Competition for Development Institutions of Special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developed by studying and writing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The method of can be described by the time order of five stages and horizontal connectivity. The time order of five stage were subscription, planning, studying, writing, considering, ordering, and supplying and the horizontal connectivity were role division with the main agent and contextual-external system.

Results This study conducted conceptual integration through organic connection of contextual and external systems as follows: integration for theory-practice of various methods that focuse on experience, research, and activity of a contextual system; and the transformation of layouts that used multi-grids, conformation of typography, and the image of an external system. Also, this study suggests a new system of textbook with user-centered design and storytelling through connection with the ‘writing+design’ type.

Conclusion The linear structure and several limited situations have been identified after reviewing the whole process for developing practical and integrated interior design books. With each step of the process, the complex, multi-layered, multi-dimensional feedback was not systematically performed. Therefore, the alternative approach is to integrate ‘research+writing+design’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in order to anticipate the entire process, where each process takes place in multi-layered feedback. The multifaceted and organic structures indicated that they should become organized.

Abstract, Translated

연구배경 본 연구는 창의적 지식제공 및 학습자 친화적 교과서 보급을 위한 「교과서 선진화 방안(2010, 교과부)」에 의거, 2013년도에 연구자가 실제적으로 개발에 참여한 특성화고 실무형 및 통합형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프로세스 방법론을 중심으로 그간의 경위를 정리 및 재조명하고 향후 창의적 디자인 전문교과서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전문교과 인정도서 개발기관 공모」에서 선정되어 2012년 4월 ~ 2013년 8월 까지 연구·집필하여 개발된 실내디자인 교과서로 한다. 연구방법은 시간적 순차성과 횡적 연결성에 따라 분석 하고 전자는 응모·신청, 기획, 연구·집필, 심의, 주문보급 5단계로, 후자는 각 단원간의 연계성을 위하여 주체와의 역할분담, 내용적-외형적 체계로 하여 일련의 프로세스를 재조명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내용적 체계의 ①이론-실습 통합 교과서, ②체험 · 탐구 · 활동중심과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적용, 외형적 체계의 ①국배판 변형 적용, ②다단그리드 적용을 통한 교과서 공간 질서 확립, ③타이포그래피와 시각자료의 일치성 등 내용적 체계와 외형적 체계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개념 통합을 꾀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실무형․통합형 교과서는 ‘집필팀+디자인팀’의 연계된 체제구축을 통한 스토리텔링 형식과 사용자 중심의 교과서가 되어야 함을 도출하였다.

결론 실무형 및 통합형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재조명한 결과, 기존 프로세스는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선상(線象)구조가 확인되며, 각 단계에서의 복합적·복층적·다차원적 피드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여러 제한적 상황들이 확인된다. 따라서 그 대안적 방법으로써 ‘연구+집필+디자인’이 일체화되고 작업의 초기부터 전 과정들을 미리 예측하고 각 과정 속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다층․다면적이고 유기적인 구조로 체계화되어야 함을 제언하며 본 논문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

Keywords:
Development of interior design textbook, Specialized High School, Integrated textbook, 실내디자인 교과서 개발, 특성화고, 통합형 교과서.
pISSN: 1226-8046
eISSN: 2288-2987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Received: 18 Apr, 2014
Revised: 01 May, 2014
Accepted: 15 Jun, 2014
Printed: Nov, 2014
Volume: 27 Issue: 4
Page: 211 ~ 225
DOI: https://doi.org/10.15187/adr.2014.11.112.4.211
Corresponding Author: Mijeong Jang (alvar@daum.net)
PDF Download:

Citation: Rhie, J., & Jang, H. (2014). Development of an Interior Design Textbook for a Specialized High School : A Study on a revised 2009 curriculum.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7(4), 211-22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ducational and non-commercial use,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세기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디지털에서 스마트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시대가 필요한 인재상도 과거의 발명가(inventer), 개발자(developer), 혁신가(innovator)를 넘어서서 크리에이터 즉 창조자(creator)를 필요로 하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단순한 지식의 축적보다는 지식의 적용과 활용이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생존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은 기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을 탈피하여 과정중심 교육과정의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Jin, 2013).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창의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학습자 친화적인 미래형 교과서 보급’을 위해 「교과서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2011년 12월 특성화고 교육과정을 산업현장 중심의 실무형 교육과정으로 전면 개편하는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졸업 직후 대학 진학보다는 산업현장에 우선 취업하는 ‘선 취업-후 진학 정책(현재 전문계고 졸업생의 80%가량이 대학으로 바로 진학하는 풍토를 개선하고, 졸업 후 2~3년 취업하고 나서 대학에 진학할 경우 특별전형 지원 자격을 부여하고 장학금 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하는 정책을 말한다. 이러한 ‘선 취업-후 진학’ 체제 구축을 위해 교육과정도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과 취업·학업 병행 정책의 강화를 도모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취지하에 개발된 실무형 교과서는 학습자에 대한 현직 교원의 지도능력 신장을 위해 산업체 연수를 대폭 확대하거나 현재 각 학교에서 활용하고 있는 명장과 산업체 우수강사 등 인력풀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http://www.mt.co.kr).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함께 2009년도 교육과정 개편을 시작으로 그간의 교육 재편성의 취지에 맞추어 특성화고 학생들이 졸업 후 다양한 실내 디자인 관련 직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능력을 갖게 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실제로 총괄 · 집필한 실내디자인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일관된 기획과 사고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 교과 내용과 차별화하여 상업 · 업무 · 문화 공간 및 실내 코디네이션 등 폭넓은 실내 디자인의 영역을 다룸으로써 실내 디자인 관련 직종의 전문인으로서의 길을 걷고자 하는 학생들이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하고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총체적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일방향적인 주입식 교과서의 형식에서의 탈피하고 인성과 창의성 교육에 주안점을 두고 새로운 교육 정책에 맞추어 각 장마다의 쌍방향적인 다양한 교수 학습법을 도입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자료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스스로 생각하는 힘, 창의적 사고, 협동 작업의 중요성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실용학문인 점에 주안점을 두어 실내 디자인의 기본 개념, 역사, 요소와 원리, 표현기법, 재료와 색채, 실내 디자인 계획, 마지막으로 미래를 향한 도전까지 각 장에서 이론과 실기를 자연스럽게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넷째,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균형을 고려하여 손작업의 모형이나 보드를 만들어 보는 것과 함께 컴퓨터 작업을 통하여 이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가로서의 감성과 기술을 겸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다섯째, 실내 디자인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학습을 즐기며 자연스럽게 미적 감성을 연마할 수 있도록 편집 디자인 등 시각적 측면의 디자인에 각별한 배려를 함으로써 실내디자인 교과서 자체가 디자인 결과물이 되도록 디자인되었다. 여섯째, 향후 실내 디자이너가 되기 위하여 필요한 프레젠테이션과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장래와 실질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신 교육과정에 부응하고 창의적이며 질 높은 교과용 도서와 산업현장 및 기술발전의 속도를 적시 반영하는 현장 적합성 높은 전문교과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자가 실제적으로 개발에 참여한 ‘특성화고 실내디자인교과서의 개발 프로세스 방법론’을 중심으로 그간의 경위를 취합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전문교과 개발의 지속적인 질적 향상과 창의적인 디자인 전문 교과서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모하고, 타 교과서의 제도 선진화 방안에 관한 후속조치를 지원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보다 나은 실무형 · 통합형 · 창의형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그 기초 자료로 활동될 것으로 기대한다.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위임에 의해 서울시 교육청이 2012년 4월 인정도서 개발기관 공모-「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전문교과 인정도서 개발 기관 공모」-에서 35책 교과서(교과군: 공업22책, 상업정보: 2책, 가사실업: 11책)중 가사실업부문에 선정된 고등학교 실내 디자인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며. 이는 2012년 4월~2013년 8월 최종 결과물 제출까지 본 연구자가 총괄책임을 담당하여 연구·개발된 실무형 전문교과서이다. 또한 본 연구는 총5단계(응모·신청단계, 기획준비단계, 연구·집필단계, 심의단계, 주문보급단계)로 구분하여 일련의 개발과정을 밝힌다. 이처럼 실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본 논문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교육개정에 따른 교과과정의 방향과 인정도서의 개념에 대하여 현시적으로 정의한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내디자인 교육과정의 개발주체와 협력자 간의 역할 분담 등을 비롯한 조직 및 개발의 순차적 절차를 밝힘으로서 그 인적 · 시간적 구성, 예산 편성 및 집행 프로세스 구조를 명확히 한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내디자인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및 개발의 내용을 제시한다. 넷째, 향후 실내 디자인 교과를 비롯한 인정도서의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결론을 내림으로써 본 연구 전체를 마무리한다.

2. 2009 개정 교육과정과 특성화고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이해
2. 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과 교과서 개발 방향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의 지나친 부담을 감축하고, 학습 흥미를 유발하며 단편적 지식·이해 교육이 아닌 학습하는 능력을 길러, 지나친 암기 중심 교육에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변화를 추구하는데 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고시(2011.8.9)에 이어 이 교육과정에 따른 현장·실생활 중심의 교과용도서 개발계획(2011.8.12)을 발표하고 그 중 2014학년부터 특성화고에서 전문 교과의 비중이 늘어나고 국어와 영어, 수학 등 보통 교과는 줄어든다고 보도하였다. 또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중 특성화고 부문을 개정 · 확정해 고시하고(2012.12.13)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직업 교육과 관련된 전문 교과의 최소 이수 단위를 88단위로 늘여 보통 교과는 현재 72단위에서 60단위로 줄이도록 했다.(http://www.moe.go.kr) 2011년 9월 한국교과서 연구재단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에 관해 그 추진 방침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첫째, 개정 교과과정을 충실히 구현하는 교과용 도서개발, 둘째, 교육현장의 적합성이 높은 교과용 도서 마련, 셋째,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질 높은 교과용 도서 편찬, 넷째, 교과용 도서의 질을 높이는 제도 개선에 있다. 그 중 교과용 도서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법으로는 국정도서의 외형 체제에 대한 자율화 추진 등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과서를 편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또한 국·검정도서 체제 내실화를 위해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2010.1.12)’ 후속조치로 쉽고, 재미있고, 학생들에게 친근한 교과용 도서 개발의 보급과 교과용 도서를 “이론·요약형에서 현장·실생활 중심”으로 개선(2011년 대통령 업무보고, 2010.12.17)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분량 제한 등의 규제로 내용이 부실하다는 지적에 대하여 국정도서 외형 체제(판형, 쪽수 등)의 자율화를 추진(2010년 국감)하였다.

2. 2. 특성화고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성격과 목표

특성화고는 1998년 3월 개정, 공포된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1조에 따라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의 한 형태로 특정 분야 인재 및 전문 직업인 양성을 위한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이며, 특정 분야의 전문 고등학교와 대안학교의 형태로 운영된다(http://ko.wikipedia,2013).

현재 초중등교육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의 질적 수준은 교과서 발행 제도 시스템과도 연동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교과서의 발행 제도인 교과서의 편찬 · 검정 · 인정과정을 말하며 교과서의 선정과도 관계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교과서는 국정도서와 검정도서, 인정도서로 나누어지며, 학교에서는 이들 세 종류의 교과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 중 인정도서는 민간이 저작한 도서를 국가기관이 교과용 도서로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심사한 교과서를 말한다. 출판사나 저작자가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발행을 하면 이를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위임을 받은 시·도교육청에서 인정심의를 거쳐 인정하면 이를 각급 학교에서 선택하는 교과용 도서를 의미한다. 현재 교육계에서는 그 동안 국정도서나 검정도서로 발행되어 오던 대부분의 교과용 도서를 인정도서로 전환함으로써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인정도서가 84%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인정도서를 교재로 사용하는 가사·실업 계열, 상업·정보 계열 고등학교의 교육은 관련 분야의 업무에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산업 분야의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 교과의 성격도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관련 산업에서 실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기능, 기술 및 태도를 길러 취업, 창업 등으로 진로를 개척하고 계속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평생 학습 능력을 길러 자아를 실현하고, 각 분야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양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특성화고의 목표는 관련 분야의 기초적인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직업과 진로를 선택할 수 있고,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인정도서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그 개발의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한 인정도서. 둘째, 학교교육체제에 적합하고 교수·학습 과정중심의 인정도서로서 교원이 직접 참여하는 현장 친화적인 인정도서. 셋째,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질 높은 인정도서로서 이는 창의력, 사고력, 탐구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 구성과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으며 활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개발하는데 있다.

3. 실내디자인 교과서 개발의 사례분석

본 연구는 실내 디자인교과서의 개발 프로세스를 응모 · 신청에서부터 기획준비, 연구 · 개발, 심의평가, 주문 · 보급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3. 1. 응모 · 신청단계

응모·신청단계는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신청서 작성과 내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응모기간은 2012년 4월 13일~4월27일로 응모신청서 8부(CD 1매 포함), 인정도서개발계획서 8부, 집필약정서 1부, 집필기관과 발행사 간 약정서 1부를 제출한다. 응모신청서에는 신청서, 연구실적 등을 포함한 연구·집필진 인적사항, 업무분담표, 추진 일정 등의 내용이 포함되고, [Figure 1]과 같이 인정도서 개발 계획서에는 개발도서의 개요, 개발 책임자, 개발진, 교과서 체제 등을 포함하고 교과서 체제에는 현행교과서 분석, 바람직한 교과서 편찬방안, 교과서 체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평가, 교육과정 상세화 및 집필세목 등을 작성한다.


Figure1 development plan of interior design textbook
3. 2. 기획단계

기획단계는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실내디자인의 교과서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주체와 역할분담과 소요예산, 추진일정에 대해 다룬다.

① 연구·개발 주체와 역할분담

본 연구에 참여한 편찬위는 연구·집필진을 포함한 개발진, 연구·집필 책임자가 소속한 대학의 산학협력단, 교육기술부 장관의 인정도서 개발의 위임을 받은 교육청(서울시교육청)이 있다. 연구·개발진은 교과서의 집필과 편집 등 교과서 개발 전 과정에 책임을 지고 참여하는 핵심적인 주체로서, 교육청 및 산학협력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교과서 원고 집필, 검토 및 수정, 감수, 편집 그리고 최종 결과물 제출까지 교과서 개발의 모든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교과서 개발에는 연구·집필책임자, 연구진, 집필진, 자체 검토진, 윤문진, 출판사 및 삽화가, 감수진으로 구성된다. 집필진은 집필책임자, 대표 집필자 중심의 기획 연구진으로 구성되며, 교과서 원고 집필, 검토진-윤문진의 검토 내용에 따른 수정, 출판사와의 편집 내용(교과서 체재, 디자인, 삽화 등) 협의 및 작성 등 교과서 원고 집필과 수정·편집 등을 담당한다. 출판사는 집필진과 협의하여 교과서의 편집과 인쇄, 출판을 담당하여, 검토본과 심의본 또한 교육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출판사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삽화와 사진 자료의 작성배치 및 조판디자인 등을 포함하여 집필진들의 의도에 맞게 교과서를 편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집필진과 출판사의 분리된 역할 분담으로 인해 글의 내용이나 삽화 및 사진자료의 작성배치가 주제에 맞지 않게 배열되거나 일률적인 배열로 인해 학습자에게 지루함을 주거나 학습효과에 기대치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한 실내 디자인 교과서 개발기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요소와 시각요소의 관련성 제고,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고려한 교과서로 한다. 기존의 타교과서의 집필은 집필자들은 대표 집필단원을 선정하여 집필하고 전체를 취합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러한 교과서의 집필방식은 각각의 단원집필자 간의 소통이 결여되고 연속적인 구성을 주지 못하는 한계점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실내디자인 교과집필에서는 각 장의 통합을 꾀하여 좀 더 재미있고 쉽게 읽힐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집필 초기 과정에서부터 외형적인 레이아웃과 판형의 디자인이 함께 진행되었다. 따라서 각 장의 대표 집필진이 각 장의 교육과정 목표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고 이후 다른 장의 집필진과 상호 교차되게 교과를 집필하도록 하였다. 둘째, 교과서 내용요소의 에피소드식 구성, 낱쪽과 단원체계의 연속성을 고려한 교과서로 한다. 이렇게 집필된 원고는 출판사에 넘겨주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집필원고의 내용, 삽화, 사진 등의 맥락을 통일하고 각 장마다의 스토리의 일관성을 주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8장까지 각각 대표 집필자가 맡은 장을 집필하고 동시에 삽화와 사진 등 스토리를 가진 레이아웃이 함께 편집되도록 한다. 또한 한 사람이 각 장을 집필하던 1소점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최소 2인 이상이 각 장을 함께 집필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에서 내용을 전달하도록 하는 다시점적 내용구성을 병행한다[Figure 2]. 셋째, 창의적인 교수법 개발, 제시된 교수-학습법을 통해 학생 스스로 만들어가는 교과서로 한다. 각 장마다 다양한 교수법을 제안하고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업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한다. 보충학습, 활동자료, 심화학습, 알아두기, 쉬어가기, 날개달기(tip) 등은 학생들에게 읽고 싶은 교과서, 재미있는 교과서가 되고 하고 현장감 있는 교과서로 거듭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Figure2 role division of author by chapters

② 연구-개발비 소요액 계획

본 연구의 개발비와 이의 항목별 세부 소요액 내역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list of operating budget

소요내역 상세 소요내역
① 자료개발 지원금 : 35,150,000원(약78%)
② 감수비: 1,000,000원(약2.2%)
③ 저작권료 부담금: 500,000원(약1.1%)
④ 업무추진비(연구 · 개발비 총액의 30%이내): 7,000,000원(약15.6%)
⑤ 간접비(연구 · 개발비 총액의 3%): 1,350,000원(3%)
크기: 4x6배판 변형(198x267mm)
쪽수: 304쪽
삽화: 원색(198x267mm)+1/2+1/4 등 70매 수록
사진작품: 원색 실사판15매 수록
집필진: 6명
연구진: 1명
윤문진: 2명
총액 45,000,000원

먼저, 실내디자인 교과서 연구·개발비 총액은 45,000,000원으로 자료개발 지원금, 감수비, 저작권료 부담금, 업무추진비, 간접비로 구분된다.

자료개발 지원금은 16개월 동안 진행되는 교과서 연구·집필에 대한 주요 부분으로 전체의 78%를 구성하도록 예산 배정하였고, 이와 관련된 제반업무를 담당하는 업무추진비는 전체의 15.6%를 하였다. 기존의 교과서 인쇄에 있어서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나타나서 본 연구에서는 저작권료 부담금을 약 1.1%로 배정하였으며 기타 감수비 2.2%, 간접비 3%로 예산 배정하였다. 자료개발 지원금에서는 원고료·개고료·연구비·삽화료·사진작품료, 감수비에서는 현장검토 심사료·윤문비가 지급된다. 이후 출판비는 산학협력단에서 출판사와 계약을 맺어 심사본 제작비·CD제작비, 편집·제작비 등 일괄 출판사에서 지급한다.

③ 추진일정 계획

실내디자인 교과서는 가사실업계열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요구 사항과 학습자 및 교사의 요구사항 등을 반영하여 기획한다. 추진일정은 「2012년 서울시교육청 상업정보·가사실업계열 인정도서 연구·개발위원 워크숍」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들을 토대로 계획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Figure 3]과 같다.


Figure3 development schedule of interior design textbook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째, 응모 및 신청을 위한 계획단계에서는 2012년 4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의 응모신청에 관련된 내용과 일련의 과정들을 정리하면서 연구개발을 위한 관련 자료들을 취합한다. 둘째, 내용 및 디자인개발을 위한 연구·집필단계에서는 집필팀과 편집팀을 일원화하여 집필·편집팀으로 구성하고 사진·삽화팀과 연구팀도 연구·집필의 초기단계부터 교과서가 집필·완료되기까지 통합된 교과서를 위해 참여하도록 계획한다. 셋째, 전문교과의 현장요구와 집필방향을 평가하는 심의단계에서는 인정도서개발팀과 인정도서심의팀, 인정도서감수팀 간의 긴밀한 내용검토를 위해 3차(1차 심의본-2차 개고본-3차 최종결재본)에 걸쳐 실시하도록 계획하였다. 넷째, 2014년 3월 학교 교재로 사용될 교과서의 수급을 위한 주문보급단계에서는 출판사와 교육청간의 주문 수량 파악과 완성본 인쇄 및 발행과 관련하여 계획하였다.

3. 3. 연구·집필 단계

본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기본 편찬 방향은 교육과정에 맞는 교과의 내용 편성과 관련되는 ‘내용적 측면’과 판형이나 쪽수와 같은 ‘외형적 측면’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발행된 교과서의 내용 및 외형적 체계에 대한 조사 연구(교과서 개선 요구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 박찬용 외, pp.202 -203)에서는 내용적 측면에서 대부분의 교과서가 학습 동기 유발이나 흥미가 매우 부족하고, 외형적 측면에서 교과서의 크기, 두께, 분권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점을 주장하였다. 이에 2012년 6월 22일 「2012 서울시교육청 상업정보·가사실업계열 인정도서 연구·개발위원 워크숍」에서 발표된 주요 골자-첫째, 전문교과 인정도서의 현장요구와 집필방향, 둘째, 교과용 도서 제작과 저작권, 셋째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활용이 가능한 인정도서 개발 방향-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실 사용자인 학생들과 교사들의 요구에 부흥하는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단계, 집필단계, 편집단계를 일원화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내용적 측면

① 이론과 실습이 통합된 교과서

기존의 교과서는 공동 집필자들이 각각의 대표 단원을 분담하여 집필하였으나 이러한 교과서 개발은 각 단원 간의 연계성이 결여되어 학습의 효율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실내디자인 교과서는 이러한 각 단원과 단원 체계 간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에피소드식 내용 구성을 도입하고 분절된 단원들을 내용들로 이어주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실내디자인교과서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이론중심의 교과서에서 특성화고 졸업 후 바로 취업하여 산업현장에 유연하게 적응하기 위해 [이론편]과 [실기편]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였다[Figure 4].


Figure4 scopes and elements of content in interior design textbook

[이론편]에서는 기본론, 역사론, 구성요소로 세분화하고 기본론에서는 실내디자인의 개요, 이해 및 기초를 배우고, 역사론에서는 동·서양에 나타난 실내 디자인의 변천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구성요소에서는 기본론과 역사론을 토대로 실내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 및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와 마감 재료를 학습하도록 하여 실전을 위한 기본기를 다지도록 하였다. [실기편]에서는 실내 공간의 표현에 관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졸업 후 취업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실무 중심형 학습 자료를 함께 수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미래를 위한 도전으로서 프레젠테이션과 포트폴리오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② 체험 · 탐구 · 활동 중심의 교과서

기존의 실내디자인 교과서들은 디자인과 편집이 같이 어울리지 않으며 내용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삽화 및 이미지들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고 있다. 이에 본 실내 디자인 교과서는 연구·집필 초기단계부터 집필진과 디자인 및 편집팀이 일원화되어 대단원 도입부에서부터 내용과 시각체계를 함께 구조화하여 어떤 정보나 개념을 일정한 체계 아래 전체적으로 구조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전체적인 내용구성은 대단원 표지 → 단원 도입 → 소단원 도입 → 본문 → 활동자료 → 쉬어가기 및 단원종합정리 → 단원종합평가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문에 있어서는 학습내용의 단계적 연속성을 고려하여 보충학습 → 심화학습 → 활동자료 → 쉬어가기 → 단원종합정리 → 단원종합평가 순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학생이 실내디자인의 교과과정을 익히면서 순차적 연속성에 따라 학생 스스로 익혀나가고 실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협동력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5].


Figure5 method of teaching & learning in interior design textbook

③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교과서.

본 연구의 실내디자인은 중단원마다 활동지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학생수준과 학교 현실에 교과서로서 부담이 없도록 쉽고 가능한 이론과 실습을 통합한 통합형 교과서로서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제시하였다[Figure 6].


Figure6 case of method of teaching & learning in interior design textbook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원 내용 중 키워드를 뽑아 그 내용을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통해 다시 한 번 정리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과제의 내용을 구성하거나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토의토론,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할 때는 ‘1. ○○교수법 소개 → 2. ○○활동지 정답 예시 → 3. ○○활동지’ 등의 순으로 학생 중심의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④ 직업·진로 지도 활동이 강조된 교과서.

특성화고 학생들이 ‘선 취업-후 진학’을 할 수 있도록 실내 디자인 교과서는 해당 교과 내용과 관련성이 높은 직업 및 진로 지도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분야별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 및 진로 탐색, 선택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다. 이에 ‘제1장 실내디자인의 이해’에서는 실내디자인의 개념 및 필요성과 함께 실내 디자인 분야에 따른 각각의 직능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본 실내 디자인 교과서가 하나의 길라잡이 역할을 할 수 있게 민들레홀씨의 이미지를 삽입하였으며 내용과 함께 이미지로써 그 의미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교과서의 마무리로서 ‘제8장 미래를 위한 도전’에서는 장차 실내 디자이너로서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그간의 작업들을 정리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제작법과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다루었다[Figure 7].


Figure7 case that employment, career guidance activities are highlighted

⑤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 취업-후 진학’의 교과과정의 목표 및 직업 기초 능력과 관련되어 역량 강화를 위해 실기편에서는 현장감이 느껴지는 실제 사례들을 예시로 제시하고 자신의 직업기초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자격제도 시험에 대비한 과정들을 일부 수록하여 학제적, 실무적인 능력을 모두 소양할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2) 외형적 측면

외형적 측면의 기본 편찬방향은 외적체계(판형, 지질, 쪽수, 색도, 제본방식)와 내적체계(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시각이미지, 기타 그래픽 요소)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적체계의 판형, 색도와 내적체계의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시각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① 판형: 4×6배판(187mm×257mm)에서 벗어난 국배판 변형(198mm×267mm)적용.

교과서 판형의 획일성을 탈피해야 한다는 것은 학계 및 교육계의 지배적인 견해로 경제성, 책 관리의 용이성과 더불어 학습대상자를 위한 편집의 융통성 및 학습 효율성을 최고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 같은 기존 4×6배판에서 국배판 변형(198mm×267mm)은 지면 활용의 효율성 증대와 함께 학습내용의 성격에 맞춰 교수 및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실내 디자인 교과서에서 도면이나 최신 트렌드에 맞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독성을 높여주고 ‘읽고 싶은 교과서’, ‘학습하고 싶은 교과서’, ‘물려주고 싶은 교과서’가 되도록 하였다.

② 레이아웃: 다단그리드 적용을 통한 교과서 공간의 전체적 질서 확립.

교과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집필팀과 디자인팀을 일원화하여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였다. 이는 교과서 본문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사진 및 삽화, 편집레이아웃에서 일치성을 주어 읽고 싶은 교과서, 배우고 싶은 교과서, 만화책처럼 재미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기존의 실내디자인교과서가 시험대비 및 주입식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의 니즈에 맞추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본 교과서 개발은 시각요소들 간의 비례와 균형, 조화와 대비, 동세와 리듬감을 고려한 조형적 접근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시각자료와 같은 편집 구성 요소들의 그룹핑을 활용한 유기적 구성을 접목하여 학습내용 전달의 효율을 증대시켰다.


Figure8 development case of interior design textbook

③ 타이포그래피와 시각이미지: 타이포그래피와 시각자료에 일치성을 주어 학습내용 그룹핑.

본 실내디자인에서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시각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하고 조화로운 타이포그래피를 구성하고 폰트크기의 다양화를 통해 유니크하고 읽고 싶은 교과서, 배우고 싶은 교과서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시각자료는 사실적이고 타당한 분석에 근거하여 트렌디한 이미지 자료와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입체적 묘사가 되도록 하였다. 이는 원고 작성 단계에서부터 집필팀과 디자인팀 간의 일원화를 통해 본문의 내용과 편집, 이미지 등이 일치되도록 하였다[Figure 9].


Figure9 case of typography and visual image

④ 일러스트레이션과 아이콘: 일러스트레이션의 입체성과 정밀성을 높이고, 타이포그래피와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개념 통합 모색.

본 실내디자인에서는 교과서 집필과 편집디자인의 이원화된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집필팀과 디자인팀의 일원화를 통해 원고 내용의 정확한 반영 및 내용의 연결성을 고려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원고 내용의 잘못된 개념 전달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고 학습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일러스트레이션 형식의 구분 및 장식 목적의 추상적 표현을 배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아이콘의 사용은 정보의 정확한 전달을 위한 표현 방식과 시선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시각적 통일성을 고려하고 가독성 및 판독성을 고려한 단순하고 명확한 형태, 유니크함을 주어 아이콘에서도 재미를 주도록 하였다.

요약하면 연구·집필단계에서는 기발행된 고등학교 실내디자인의 교과서와 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의 커리큘럼, 기존 실내디자인교과서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에서 현장에 적합한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교과서와 텍스트 중심의 기존교과서에서 탈피하여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위해 연구와 집필 편찬이 함께 진행하였다. 또한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기존의 교과서 집필방식이 각각 주어진 단원만을 집필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각의 단원별 집필진이 대표 단원을 집필하고 크로스로 다른 파트를 감수하거나 집필하였다. 특히, 이론파트와 실기파트를 구분하던 방식에서 이론에서도 다양한 실습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론+실기를 병행 수업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실기 파트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단원별 집필진이 모두 참여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선 취업 후 대학’의 취지에 맞춰 현장을 반영한 사례들을 열거하여 학교에서도 실내디자인의 트렌드와 실무 감각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실내디자인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내용적 또는 외형적으로 창의적인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교과서의 연구 · 집필 단계에서 집필진과 편집디자인을 함께 진행한 것이라 볼 수 있다.

3. 4. 심의평가 단계

심의평가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에 창의적이고 다양한 인정도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집필진, 감수진, 심의진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7일 교육과학부는 「2012 인정도서 감수·심의·개발진 공동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는 교과용 도서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인정도서 질 관리를 위한 감수의 실제와 결과에 대한 검토 및 협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인정도서 개발 현황 및 개선 방안 마련, 고등학교 전문교과 인정도서의 현장적합성 강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2014년 3월 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실내 디자인은 1차 심의(기초심사: 원고본) → 2차 심의(본심사: 수정본) → 결재본 심의(최종심의)에 걸쳐 인정도서 심의 방식이 진행되었다. 여기서 인정도서 개발 시 주요 심의 대상은 인정도서 개발 계획서 및 집필세목, 인정도서 원고본, 인정도서 수정본, 최종본으로 하였다[Table 2].

Table 2
objects and contents of review

심의 대상 심의 내용
① 인정도서 개발계획서 및 집필세목
② 인정도서 원고본 ▪ 단원구성(수업시수에 맞는 적절한 소단원 배분 등)및 편집체제
▪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단원 제목, 제재 등의 합치여부
▪ 내용의 표현 · 표기오류, 사진 · 삽화 · 도표 등의 효과적인 활용, 배치, 관련성
▪ 학습을 안내하는 다양한 안내 표지들의 적절성
▪ 표지디자인
③ 인정도서 수정본 ▪ 원고본 수정 · 보완 검토 의견서에 대한 이행 여부
▪ 인정기준에 미달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
▪ 인권침해, 저작권 위반 등의 문제 발생 여부
▪ 수정본의 추가적인 재수정이 필요한 사항 등
④ 최종본 ▪ 주요 수정 · 보완 요구 사항에 대한 재검토
▪ 표지 · 판권 등의 기재사항 이상 여부
▪ 인정 취소 사유 등에 해당하는 사항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이러한 심의 대상과 내용을 토대로 실내 디자인의 심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10].


Figure10 valuation schedule in interior design textbook

실내 디자인 교과서의 검토는 집필진 자체 검토 및 감수와 교육청 차원에서의 외부 검토위원(4명-현장교사3명, 심의위원1명)에 의한 검토가 있었으며 교육청 차원의 검토는 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제 현장교사의 실제적인 검토결과, 실내 디자인 교과서는 현장에서 실습될 때 학생들에게 잘 읽히는 교과서, 재미있는 교과서, 오래 간직하고 싶은 교과서로 기획 및 제작된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들의 교수 - 학습법에 있어서도 이론과 실기를 통합한 맞춤형 수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 이유로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스토리텔링과 그래픽디자인의 통합, 디자인 그 자체가 스토리텔링이 되고 스토리텔링이 그래픽이 되는 편집디자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연계적이고 일체화된 내용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자 주도적인 교과서가 되는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반면 보강되어야 할 측면은 본 연구의 대상인 실내 디자인 교과서를 학습한 후 그 다음 단계의 학습자에 대한 진로결정(대학진학자, 기업취업자, 자격증 응시자 등)의 조절이 어려워 단원 간의 내용구성에 있어서 집필진과 심의진간 조절을 위한 긴밀한 소통이 필요한 점이었다. 이러한 논의는 교과서가 완성되기까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깊은 소통을 요하는 부분으로서 초기단계에서부터 역할분담을 위한 조정시간이 구조적으로 고려되어 프로그래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격증 응시를 위한 학습자에게는 내용적으로 보충되는 참고서를 병행 수업해야 하는 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향후 이러한 실내 디자인 교과서는 집필진, 심의진, 교육부, 교육청간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과 실제 교과서를 사용하게 될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현장수요자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완성도 높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집필진의 원고뿐만 아니라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교사들(외부검토위원 또는 현장검토위원)의 실질적인 리뷰에 대한 면밀한 검토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5. 주문 · 보급 단계

주문·보급단계는 집필 및 편집디자인이 완료된 원고를 응모단계에서 선정된 출판사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각 학교의 교사들이 원고를 보고 선 주문 후 제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선정된 인정도서는 2014년 2월부터 보급되어 3월에 각 학교에서 교재로 선정되어 학습하게 된다. 그러나 교육부에서 개발하는 인정도서는 가사실업계열의 33권, 공업계열의 55권으로 출판사와의 공동출판 및 판권결정, 가격책정 등의 과정을 요하며 이러한 절차를 밟아 주문·보급하는 상황으로 인하여 주문·보급일정은 전체일정에서 일부 기간이 지연되었음을 밝힌다.

4. 요약 및 제언

본 연구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2년 새롭게 개발된 인정도서 중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한 사례를 밝혀나가면서 향후 실내 디자인 교과서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개발 과정의 특징은 크게 내용적 측면과 외형적 측면으로 요약된다. 먼저 내용적 측면에서는 첫째, 이론과 실무를 통합한 실내디자인의 현장 적용성 탐색. 이는 기존의 이론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습한 학생들이 졸업 후 실무 현장에서 활동함에 있어서 부적응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장에서 여러 상황에 따른 문제점들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최신 자료들과 실무적인 내용들을 다룸으로써 좀 더 실무형 교과서에 근접하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현재 특성화고 학생들이 졸업 후 대학으로 바로 진학하는 현상들을 개선하고 ‘선 취업 후 진학’을 유도하기 위해 현재 교육현장에서 직접 가르치고 있는 현장검토위원과 심의진 그리고 학생들을 통해 심층검증을 받아 실내 디자인의 현장 적용성을 높인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체험·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수법 제안. 서울시 교육청에서 연구·개발된 33권의 가사실업계 교과서는 향후 전국의 학교에서 학습교재로 사용된다. 이에 현재 특성화고에서 가르치는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실내디자인의 실무 미경험자 및 비전공자가 많은 현실적 상황을 반영하여 본 교과서를 통해 교수학습법을 익히고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다음으로 외형적 측면에서는 첫째, 내용과 판형을 통합한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제안. 기존의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집필진과 편집 및 디자인이 별개로 구분되어 글의 내용과 삽화 및 사진, 전체적인 레이아웃이 통일되지 못해 공부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드러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본 교과서의 개발 취지에 부합되는 재미있는 교과서, 잘 읽히는 교과서가 되도록 하였다. 둘째, 내용과 다단그리드 · 아이콘 · 시각이미지의 일치성으로 집필진과 편집디자인의 일치형 모델 교과서 제안. 이는 기존의 교과서 내용개발의 주체와 편집디자인의 이원화로 인해 내용과 디자인이 불일치한 점들을 개선한 것에 특징이 있다.

결언으로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 교과서의 내용적 체계와 외형적 체계를 통합하고 ‘선 취업-후 진학’의 요구사항에 맞는 실무형 전문교과서를 개발하면서 동시에 기존의 실무형 교과서가 자격증이나 기계적인 오퍼레이터로 인식되어 온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창의형 실내디자인 교과서를 병행 개발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힘으로써 향후 실무형 및 통합형 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실내 디자인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서 기존의 집필팀에만 의존하는 교과서 체제와 시스템에서 벗어나 집필팀, 디자인팀, 교정 · 감수팀, 관리감독기관인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집필팀+디자인팀」의 통합된 체제를 구축하고, 스토리텔링 형식이 접목된 이해 중심의 실내 디자인 교과서가 병행되어야 함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실내디자인 교과서는 국배판(4×6배판)의 획일화된 교재가 아닌 국배판 변형(198×267mm)과 같이 실무에 맞는 실내디자인 도면 등이 가독성이 있게 수록되어 교과목의 특징에 맞는 탄력적인 판형으로 편집되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는 ‘수용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창의력을 길러주고 정보화 및 지식 기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 체계화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그러나 본 결론을 통해 얻어진 실무형 및 통합형 교과서를 이루기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재조명한 결과, 기존 프로세스는 단수의 선상(線象) 구조가 확인되며 각 단계에서의 복합적 · 복층적 · 다차원적 피드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여러 제한적 상황들이 확인된다. 그러나 그 대안적 방법으로는 연구+집필+디자인이 일체화되고 작업의 초기부터 전 과정들을 미리 예측하고 각 과정 속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다층․다면적이고 유기적인 구조로 체계화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Figure11 creativ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in interior design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search Grants.(1-1303-0196)

References
  1. 1 . Choi, E. H. (2013, september). 'practical' overall reorganization for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1121000464712091&outlink=1.
  2. 2 . Jin, E. N. (2013, september). How the technology textbooks of future should be changed?]. textbook research, 73, 35.
  3. 3 . Owen, C. L. (2013). Now, specification high school is general trend. Retrieved August, 2013, from http://www.ahaeconomy.com/index.html?page=news/flypage&nid=10650&cid=.
  4. 4 . Wikipedia. (2013). specialized high school, Retrieved August, 2013, from http://ko.wikipedia.org/wiki.
  5. 5 . Ministry of Education. (2013). revision notice to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xpand autonomy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strengthen professional training of specialized high school, Retrieved August , 2013, from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boardSeq=39841&mode=view.
  6. 6 . Jung, J. W. (2013). 'Degree at the same time work to go around - system building of not go on to college but immediately get a job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s'. Moneytoday. Retrieved January, 2013,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13011401230174096&type=1.